(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정릉(도심권)·영천(서북권)·신창(동북권)·신원(서남권)·길동(동남권) 등 5개 시장을 서울시내 전통시장의 변화를 이끌어 나갈 권역별 선도시장으로 선정했다. 2016년까지 각 시장의 상인회·자치구·지역주민과 함께 ‘서울형 신(新)시장’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대책 ‘시장-다시살림-프로젝트’를 19일 발표, 다각도의 어려움에 직면한 전통시장을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기찬 지역경제의 중심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역 특성 반영한 차별적 경쟁력 창출
현재 전통시장의 약 64%가 역세권에 위치해 있어 지역민의 접근성은 높으나 대형마트나 백화점·기업형슈퍼마켓(SSM) 등 유통업체 영향권에 있고, 소비자트렌드에 뒤떨어진 운영·시설노후와 고객서비스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전통시장 지원정책이 하드웨어 위주로 지역경제와 분리된채 시장 자체에 대해서만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전통시장과 마을기업·협동조합까지 함께 참여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시장의 콘셉을 정하고 발전 밑그림을 그려 차별화된 경쟁력을 만들게 된다.
이로써 우리동네 시장을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 아닌 지역경제의 생태계 중심공간으로 자리매김 시키는 것이 서울형 신시장의 핵심 내용이다.
예컨대 협동조합·마을기업의 청년상인을 시장 안으로 유입해 소비자 트렌드에 걸 맞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수혈하며, 경영·마케팅·문화기획 등 분야별 전통시장 매니저를 4배 이상 확대 투입해 시장마다 필요한 전략 수립을 전문적으로 돕게 된다.
어느 나라나 전통시장에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머무는 만큼 시장과 장인의 숨은 이야기를 스토리텔링화하고 장인점포는 브랜드화할 방침이다. 관광코스 개발과 전통시장 관광지도 제작을 통해 전통시장도 한류관광 명소 반열에 올린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티머니형 신용카드 도입 검토 등 결재환경 간편화를 추진한다. 전통시장의 고질적 문제였던 3불(불친절·불결·불신) 해소를 위한 가격·원산지 표시제 정착 유도하고, 체계적 정기 위생검사 등도 추진해 소비자와 상인 모두가 반기는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전통시장 정책전담기구이자 컨트롤타워인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를 설립하고, 전통시장 상인교육 및 사랑방 역할을 할 ‘서울전통시장 상인회관’을 만드는 한편, 중간조직으로 민간전문가·상인·지역주민 등이 참여하는 컨설팅단과 사업단 등을 구성해 전방위 지원 체계도 갖출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전통시장이 다시 살려면 상인이 서야 한다”며 “서울시와 상인들이 공동협약을 한 이번 정책은 실질적으로 상인을 살리고, 시장을 살리고, 지역을 살리는 정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먼저 5개 시장을 통해 시장 성공시대를 만들고, 그 모범을 전체 전통시장으로 확산 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머니위크 김병화 기자 mttime@mt.co.kr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