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보다 입자가 더 작은 초미세먼지가 화제다. 19일 민주당 장하나 의원실이 수도권대기환경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1~6월 수도권 4개 지점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발표했는데 지난해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것.
이런 일명 중국발 초미세먼지는 일반마스크에도 걸러지지 않으며 기관지에 흡착되지 않고 바로 폐에 축적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특히 만성폐질환자나 천식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외출을 삼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현재 수도권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예보제만 실시되고 있으며 초미세먼지 예보제는 2015년에 시행될 예정이다.
사진=손인중 기자(뉴스1 서울), 출처=머니투데이DB
이렇게 올해 초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증가한 이유는 중국 북동부 공업지역의 대기오염지수가 전년 대비 40% 증가하고 스모그 일수가 52년 만에 최다를 기록하는 등 잦아진 중국발 스모그 영향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일명 중국발 초미세먼지는 일반마스크에도 걸러지지 않으며 기관지에 흡착되지 않고 바로 폐에 축적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특히 만성폐질환자나 천식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외출을 삼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현재 수도권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예보제만 실시되고 있으며 초미세먼지 예보제는 2015년에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초미세먼지를 막기 위해 야외활동 할 때 마스크 챙겨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마스크가 아닌 황사마스크를 써야함을 유의해야한다.
0.04~1.0㎛ 크기의 초미세먼지를 80% 이상 걸러내야만 식약처의 기준을 통과한 황사마스크로 국내에선 30종만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외관상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황사마스크'라는 공식 명칭과 식약처의 '의약외품' 인증 표시를 모두 확인해야 초미세먼지를 막을 용도에 맞는 마스크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외관상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황사마스크'라는 공식 명칭과 식약처의 '의약외품' 인증 표시를 모두 확인해야 초미세먼지를 막을 용도에 맞는 마스크를 선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