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3일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가 부산 사하구 을숙도에서 채취한 철새 분변에서 AI 양성반응이 나와 농림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했다고 23일 밝혔다.
부산보건환경연구원은 경상대 의대에 의뢰, 철새 분변 5건(건당 5점)에 대한 간이검사를 한 결과 1건에서 양성반응이 나왔고 고병원성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 3시께 부산 사하구 을숙도 철새도래지에서 검둥오리류인 물닭 1마리와 붉은 부리 갈매기 1마리가 죽은 채 발견됐다. 이에 방역당국은 수거한 새 사체를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보내 AI 감염 여부를 검사하도록 했다.
앞서 이날 정오에는 경북 구미 낙동강 체육공원에서 청둥오리 1마리와 고니 1마리가 죽은 채 발견됐다. 마찬가지로 AI 정밀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
지난 21일과 22일에도 경북 고령 낙동강 회천교 근처와 영덕에서 청둥오리, 바다오리 등이 죽은 채 잇따라 발견됐지만 간이검사에서 모두 음성판정을 받았다.
또한 지난 21일 울산 북구 창평동 울산공한 인근 논에서 떼까마귀 14마리가 폐사한 채 발견됐다.
울산시는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떼까마귀 사채 주변에서 농약 봉지가 발견된 점 등을 미뤄 농약에 중독돼 폐사했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하지만 AI 감염에 의한 폐사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떼까마귀 사채와 시료 등을 농림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분석을 의뢰했다.
이에 앞서 방역지원본부 울산출장소와 울산시보건환경연구원은 이달 9일과 16일 2차례에 걸쳐 떼까마귀 등 태화강 겨울 철새의 분변 검사를 했으며 모두 AI 음성판정을 받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