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이 붓고 심한 통증이 계속된다면 가장 먼저 의심해 봐야 할 질환은 ‘유선염’이다. 유선염은 그 증상 때문에 종종 유방암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유선염은 18~55세 여성에서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가장 많이 발병하는 환자는 출산 후 모유수유를 하는 여성들이다. 

아무래도 모유수유를 하다보면 쉽게 유관에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유선염 발병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유선염의 증상과 예방, 치료법은 어떻게 해야 할까.
유선염은 출산 후 여성들이 젖이 잘 배출되지 않고 고여서 고름이 되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유선염은 보통 유방이 붓고 38도 이상의 고열과 발한을 동반하여 감기몸살로 오인할 수 있다. 만약 유방 주변이 빨갛게 붓고 몸살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유선염을 의심해 보고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송파구 잠실에 위치한 유방외과 아산유외과 홍수정 원장은 “유선염은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한데, 대부분 증상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지 못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유선염이 생겨서 항생제 복용을 하더라도 모유수유에는 전혀 지장이 없기 때문에 수유를 하더라도 꼭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선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모유수유시 올바른 자세를 하고 출산 후 1~3일간은 뜨거운 수건으로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모유수유시 아기가 유두를 얕게 물거니 비뚤어지게 먹으면 유선염의 원인이 되므로, 아기가 젖을 잘 물 수 있도록 유두를 깊게 물려야 한다. 또한 유두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상처가 나면 유두보호기 등을 사용하여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해 주어야 한다.


이밖에도 수유하는 여성들은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말고 평소에 헐렁한 옷을 입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수유 전에는 따뜻한 수건이나 물로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유선염이 의심되면 즉시 유방외과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간혹 유선염 치료 과정에 사용되는 항생제나 소염제, 진통제가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칠까봐 치료시기를 늦추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유선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와 관련 아산유외과 홍수정 원장은 “모유수유를 하면서 유선염 치료는 얼마든지 받을 수 있다”며 “오히려 유선염 치료를 늦추면 모유가 원활하게 나오지 않아 수유에 방해가 되므로 수유여성들도 꼭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혹시라도 수유에 영향이 있을까 꺼려진다면 유축기를 이용하여 젖을 짜두는 것도 좋다”고 설명했다.


또 "일부에서는 유선염이 유방암으로 발병할까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발병원인이 전혀 다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도움말, 이미지제공=아산유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