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목 증후군은 거북이가 목을 길게 빼고 있는 것처럼 목이 앞으로 나온 자세가 계속된 결과, 목의 모양이 변형되고 여러가지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을 말한다.
컴퓨터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앞으로 빼고 허리를 구부리고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자세를 장시간 하게되면 척추 윗부분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목 뒷부분의 근육과 인대가 머리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 큰 부담을 느끼게 된다.
인천모두병원 김형중원장은 “거북목 증후군은 무엇보다 예방법이 가장 중요하다”며 “어깨를 펴고 고개를 꼿꼿이 하는 바른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최우선이고, 수시로 기지개를 켜주고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목 뒤쪽 근육과 인대의 긴장을 해소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점차 줄어들게 되면서 거북목 발생비율이 높아질 수 있는데, 특히 컴퓨터 및 스마트 폰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연령 및 성별에 관계 없이 발생하고 있다.
거북목 증후군 진단 기준과 증상은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비의학적 용어다. 병원에서는 목뼈가 앞으로 굽은 경추전만증이나 근육이 뭉쳐서 생기는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진단한다.
거북목으로 유무를 따질 수 있는 간단한 거북목 자가 진단법도 있다. 목을 세워서 차렷자세로 똑바로 선 후에 귀의 중간에서부터 아래로 가는 선을 그었을 때 그 선이 어깨 중간을 통과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 선이 중간보다 앞으로 2.5cm이상 나와있으면 이미 심각한 거북목 상태이고, 2.5cm미만이면 거북목 상태로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겠다.
책상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의자 뒤쪽에 바짝 붙이고 허리와 가슴을 펴고 고개를 꼿꼿하게 세우며, 가급적 책상이나 식탁에 팔을 대고 상체를 숙이는 자세는 삼가하고 어깨를 움츠리면 자연히 머리가 앞으로 나오게 되므로 항상 당당하게 가슴을 내밀고 다니는 것이 좋다.
만약 증상이 심해지면 내원해 치료를 받아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도수교정치료 및 경추 무중력 감압치료 등을 진행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모두병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