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일본에서 인공증식 되어 자연방사 한 황새가 한국을 찾아온 첫 사례를 확인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지난 18일 경상남도 김해시 화포천습지생태관이 화포습지 점검 과정에서 가락지를 다리에 부착하고 있는 황새를 발견했는데, 문화재청이 일본 효고현 도요오카시연구소 측에 확인한 결과 일본에서 인공증식 되어 자연방사 한 개체였던 것이다.
한국교원대학교 한국황새복원센터장 박시룡 교수는 “한국 내에 자연복귀 예정인 황새들이 일본에서 자연복귀 된 황새들과 서로 교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최초 사례"라며 "아직 한반도에는 자연복귀 개체가 없기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암컷 황새는 다시 일본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재청이 그동안 한국황새복원센터, 예산군과 함께 천연기념물 황새와 인간이 어우러지는 ‘황새마을’을 충청남도 예산군에 조성하고 있으며, ‘황새마을’이 완공되는 대로 2015년부터 황새들을 야생 방사할 예정이다.
한편 황새는 시베리아, 중국 동북지방에서 번식하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겨울을 보내며, 세계적으로 약 3,000마리 이하만 생존하고 있는 절종(絶種) 위기에 처한 조류이다. 한국에서는 1971년 수컷 황새가 밀렵에 의해 사살되고, 1994년 마지막 남은 암컷 황새가 죽으면서 텃새로서의 황새는 절종되었다.
<이미지제공=문화재청 보도자료>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