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변비약 광고모델은 20~30대 여성이다. 하지만 실제 변비를 앓고 있는 연령은 9세 이하의 여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08~2012년까지 ‘변비’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23일 내놓았다.

▲변비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2012년)

이에 따르면 2012년 기준 ‘변비’로 인한 전체 진료인원은 61만 8,586명이었으며, 9세 이하의 소아·아동과 70세 이상의 노인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9세 이하의 소아·아동 진료인원은 17만2,187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27.8%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고, 70세 이상의 고령층 진료인원은 15만2,659명으로 24.7%의 점유율을 보여 전체 진료인원 중 소아·아동과 고령층이 52.5%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조용석 교수는 ‘변비’가 소아·아동과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소아에서는 급성 변비가 많이 나타나고, 노인의 경우 신경계 질환이나 대사성 질환 등이 원인인 이차성 변비가 증가하며, 운동 부족, 섬유질 섭취 부족 등도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변비’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35만 9,408명)이 남성(25만 9,178명)에 비해 약 1.4배 많았으며, 총 진료비도 여성(약 195억 원)이 남성(약 151억 원)에 비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4.6배)~30대(3.8배)의 젊은 연령대에서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용석 교수는 ‘변비’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여성호르몬이 대장의 운동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황체호르몬이 왕성해지는 임신 중이나 배란일로부터 월경 전까지 변비가 더 심해질 수 있다. 그 외 운동 부족이나 섬유질 섭취 부족, 수분 섭취 부족 등도 여성에서 변비가 더 흔한 원인일 수 있으며, 불규칙한 배변 습관이나 스트레스 등도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변비’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진료비 지출도 매년 증가했다.

총 진료인원은 2008년 48만 5,696명에서 2012년 61만 8,586명으로 1.3배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6.2%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2008년 1,009명에서 2012년 1,246명으로 1.2배 늘었고, 연평균 증가율은 5.4%로 나타났다.

총 진료비 역시 2008년 약 255억 원에서 2012년 약 346억 원으로 1.4배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7.9%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추이를 살펴보면 연평균 증가율은 50대 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60대 8.2%, 70세 이상 6.1%, 40대 4.4% 순(順)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