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신경계와 연관이 있는 기능의 발달지연 혹은 결핍을 의미하는 정신발달장애로 치료 받는 남자가 여자보다 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에 상관없이 10세 미만이 64%로 조사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정신발달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2년 ‘정신발달장애’ 진료인원은 2만9916명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 76.0%, 여자 24.0%로 남자가 3배 가량 많았다. 남자에서 정신발달장애가 많은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0세~4세가 35.4%로 가장 많았고, 5세~9세가 28.3%로 10세 미만이 전체의 약 64%를 차지했다. 또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진료인원은 감소하였다

‘정신발달장애’ 진료인원을 세부질환별로 살펴보면 ▲말과 언어의 특정발달장애, ▲학습숙련의 특정발달장애, ▲운동기능의 특정발달장애, ▲혼합형의 특정발달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심리적 발달장애 총 6가지로 분류된다.


그중 2012년의 경우 ‘전반적 발달장애’가 44.6%로 가장 많았고, ‘말과 언어의 특정발달장애’가 43.8%로 2개 질환이 전체의 약 89%를 차지하였다..

2012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세 미만은 ‘말과 언어의 특정발달장애’가 많았고(0세~4세 319.3명, 5세~9세 207.8명), 10대는 ‘전반적 발달장애’가 많았다(10~14세 100.2명, 15세~19세 76.0명, 20세~24세 52.8명).

한편 대부분의 정신발달장애는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에 들어가는것이 예후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발달 단계를 넘기게 되면 이를 극복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7년 11월부터 영유아의 성장발달 사항을 추적 관리하기 위해 ‘영유아 국가건강검진’을 시행하고 있다. 검진비용은 전액 공단이 부담하며, 본인부담금은 없음.

검진대상은 생후 4개월~만 6세(71개월)까지의 영유아이며, 연령에 따라 총 건강검진 7회, 구강검진 3회가 제공된다.
<이미지제공=국민강보험공단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