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드랑이 부위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나고 흰옷을 입었을 때 옷의 겨드랑이 부분이 노랗게 변한다면 액취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액취증은 겨드랑이의 아포크라인 땀샘에서 분비된 땀이 박테리아에 의해 지방산으로 분해하면서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을 말한다.
보통 겨드랑이 부위의 옷 색깔이 누렇게 변하고 악취를 유발하는 경우를 액취증이라고 볼 수 있는데 액취증 환자의 50~60%가 다한증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다한증과 액취증은 복잡한 지하철이나 차 안, 사무실 등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평소 생활습관을 개선 해보고 상태가 심해지면 전문의를 찾아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민병원 김혁문 과장은 “액취증의 원인이 되는 아포크린 땀샘은 계절적 요인과 상관 없지만 여름철에는 땀이 많이 나고 얇은 옷을 입기 때문에 다른 계절보다 증상이 쉽게 드러난다”며 “보통 액취증과 함께 땀이 많은 다한증이 동반되는데 갑상선 질환이나 당뇨병 등 신체 이상으로도 땀 분비가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신체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서 땀이 유난히 많이 난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우리 몸의 땀샘은 체온 조절과 노폐물 배출을 담당 하는 에크린 땀샘과 지방산과 유기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아포크린 땀샘으로 나뉜다. 아포크린 땀샘은 태아일 때 전신피부에 분포하지만 출생 후 점차 없어지거나 퇴화해 겨드랑이, 배꼽주위 등 특정 부위에 신체 일부분에만 남게 되는데 아포크린 땀샘에서 배출하는 땀이 액취의 주원인이 된다.
김혁문 과장은 “액취증이 심하지 않다면 세균 발육 억제를 위해 겨드랑이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자주 씻어 청결하게 유지하는 등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며 “하지만 겨드랑이 털을 제거하고 데오트란트나 향수 등을 사용해도 냄새가 심하다면 아포크린 땀샘이 분포하는 부위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액취증 환자들에게는 리포셋 흡입술(땀샘흡입술)이 적합한데, 이 수술은 재발률이 10% 미만이고 수술 만족도가 높으며, 효과가 영구적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다한증과 액취증 환자는 우선 평소 목욕을 자주해서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겨드랑이 부위 또한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게 중요하며 이에 땀 흡수가 좋은 면소재의 속옷을 입고 자주 갈아입는 것이 좋다.
<도움말, 이미지제공=민병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