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자살·위암·교통사고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OECD 국가의 사망원인별 사망률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1054.6명에서 2012년 753.8명으로 28.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사망률이 29.6% 줄어든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높은 감소율이다.


하지만 자살 사망률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22.7명에서 2012년 29.1명으로 28.2% 증가했다. 2012년 기준으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위암 사망률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42.8명에서 2012년 23.4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크게 떨어졌다. 그러나 칠레 27.9명, 일본 25.4명에 이어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운수사고 사망률은 2002년 인구 10만명당 25.2명에서 2012년 13.9명으로 44.8% 줄었다. 하지만 멕시코 17.4명, 칠레 14.0명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률은 일본 39.0명, 프랑스 42.6명에 이어 전체 35개국 가운데 32위였다. 전체 암 사망률은 29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