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새누리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업카드사 9곳을 대상으로 신용등급별 평균수수료율을 비교해본 결과 신용등급 6등급 이하의 저신용층은 최하 19%에서 최고 24.9%의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신용등급이 우량등급(1~3등급)이더라도, 현금서비스를 받으려면 15%이상의 고금리를 부담해야 한다. 이 경우 금리가 일정치 않아 카드사별로 최저 12.16%에서 최고 16.97%로 4.81%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카드론 서비스의 경우에도 고금리 현상은 여전했다. 현금서비스보다 수수료율이 낮지만 6등급 이하 저신용층의 경우 최하 15.02%에서 최고 19.90%의 고금리를 부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량 신용등급이더라도 12%이상의 높은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6등급 이하의 경우 삼성, 신한(3,595원 -0 0%), KB국민카드 순으로 현금서비스 수수료율이 높았다.
카드론의 경우 현대, 삼성, 하나SK, 롯데 순으로 카드론 수수료율이 높았다.
유 의원은 “신용등급에 따른 금리의 차등화가 시급하다”며 “고객들의 수수료 부담 경감을 위한 단계적인 대책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