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사령부가 해·공군처럼 '삼각모'인 게리슨모를 도입하기로 했다. 해병대가 도입하는 게리슨모는 공군 것과 형태와 모양이 같지만 색깔은 다르다. 파란색인 공군과 달리 민무늬에 국방색으로 만들어졌고 계급장은 기존과 같다. 해군도 게리슨모를 도입했으며 육군은 베레모를 사용하고 있다. /사진=해병대사령부 제공
‘공군 게리슨모’ ‘해병대 게리슨모 착용 추진’
해병대도 공군과 해군이 착용하는 ‘게리슨모’를 착용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해병대 자부심의 상징인 ‘팔각모’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30일 방위사업청의 한 관계자는 "해병대사령부에서 지난 10월 초 복제개정 일환으로 게리슨모 보급을 위한 기술검토를 요청해 왔다"며 "10월 중순쯤 해병대가 요청한 게리슨모에 대한 기술검토를 마치고 해병대에서 자체 조달해도 된다는 검토 결과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병대는 사령부를 비롯한 일부 부대에서 게리슨모를 시험 착용하고, 부대 장병의 의견을 수렴해 내년 중으로 게리슨모를 전 부대에 본격적으로 보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게리슨모(Garrison Cap)는 움푹 팬 가운데 홈이 앞뒤로 뻗어 있는 형태의 모자로 쉽게 접을 수 있고 부피를 거의 차지하지 않는다.
해병대의 게리슨모는 공군의 게리슨모와 형태와 모양은 유사하나 푸른색인 공군 게리슨모와 달리 국방색으로 바탕에 무늬가 없이 고안된 것으로 전해졌다. 게리슨모에 다는 계급장도 현재와 같은 색깔과 모양이며, 우선 간부용으로만 내년 중 조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병대의 한 관계자는 "게리슨모는 근무복을 입을 때만 쓰고 전투복을 입을 때는 팔각모를 쓰게 될 것"이라며 "미국 해병대도 행사 때는 게리슨모를 쓴다"고 말했다.
현재 게리슨모는 해군과 공군이 착용하고 있고 육군은 베레모를 사용 중이다.
한편 해병대 예비역들은 해병대 자부심의 상징인 ‘팔각모’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
이에 해병대 관계자는 "팔각모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게리슨모가 추가되는 것이다"라며 "2016년부터 도입하는데 근무복에 팔각모와 게리슨모를 함께 사용하는 혼착기간을 2018년까지 3년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