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겨울 스포츠는 짜릿한 스릴만큼 부상의 위험도 존재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차' 하는 순간 관절 부상
기온이 낮으면 우리 몸은 자연스레 움츠리게 되어 근육이 굳어진다. 이에 평소 운동을 하던 사람이라도 준비운동 없이 갑작스레 운동을 하면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가게 마련이다.
특히 스키, 스노우보드, 스케이트 등 야외 활동이 많은 겨울레포츠는 충돌이나 낙상 등의 부상위험이 크다. 실제 레포츠를 즐기던 도중 관절 부상으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적지 않다.
미끄러운 설원이나 얼음위에서 빠른 스피드를 느끼는 운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찰나의 순간에 부상을 입게 된다.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경우 대부분 몸을 지탱하려고 반사적으로 손목에 체중을 싣는데 이 때 손목 관절에 심하게 무리가 가면 연골이나 인대가 손상되고 심하면 골절이 되기도 하는 것. 손목은 우리 몸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관절이기 때문에 부상을 입으면 일상생활에 불편이 따르고, 진단에 따라 깁스고정이나 물리치료 또는 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또, 묘기 연출이나 무리한 속도 등으로 인한 발목이나 무릎 관절 부상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과격한 스포츠 활동을 하다 무릎을 다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 가장 많이 다치는 곳이 전방십자인대 등의 인대손상이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관절 안에 있는 네 개의 인대 중 하나로, 무릎이 앞으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무릎이 붓고 불안정한 느낌의 증상이 있다.
청주프라임병원 관절센터 윤경환 원장은 "전방십자인대의 부상과 함께 연골판 손상이 함께 발생하는데 치료가 적절치 않을 경우 운동장애를 일으키고 후에 조기 관절염의 원인이 된다. 특히 한번 끊어진 십자인대의 경우, 자연치유가 힘들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치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방법으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인대재건술을 시행하는데 상처가 작고 출혈도 적다.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고 근육이 튼튼하고 젊은 사람이라면 90%이상 회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어깨부상의 경우, 직접적으로 부딪히거나 팔이 꺽여서 발생하는데 어깨부위의 움직임이 힘들어 진다면 인대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어깨에는 움직임을 담당하는 회전근개라는 인대와 관절 사이를 이어주는 인대등이 있기 때문에 손상후 어깨통증이 있을 경우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부상예방과 응급처치
어떠한 스포츠 활동을 하더라도 준비 운동은 기본이다. 날씨가 추워지면 자연적으로 관절의 운동범위가 제한된다. 몸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운동 전 스트레칭으로 가볍게 몸을 풀어준다. 스트레칭은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늘려주어 신체 유연성을 높여준다.
기온이 낮아 체온이 쉽게 올라가지 않으므로 실내에서 준비운동을 하여 약간 땀이 나는 상태로 몸 상태를 유지하고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땀이 쉽게 식지 않도록 얇은 옷을 겹쳐 입는 것도 체온유지에 도움이 된다.
겨울 레포츠 시 안전장비 착용은 필수이다. 충돌의 가능성이 크고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이다. 안전수칙 잘 지키고 자신의 실력을 자만해서는 안된다.
만약 부상을 당했다면 부위 확인 후 충격을 주지 말고 부목으로 고정 뒤, 의무실을 찾아 응급처치를 받도록 한다. 이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관절 손상의 경우 초기에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해 두면 더 큰 병으로 악화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도움말=청주프라임병원 관절센터 윤경환 병원장
이어 "치료방법으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인대재건술을 시행하는데 상처가 작고 출혈도 적다.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고 근육이 튼튼하고 젊은 사람이라면 90%이상 회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어깨부상의 경우, 직접적으로 부딪히거나 팔이 꺽여서 발생하는데 어깨부위의 움직임이 힘들어 진다면 인대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어깨에는 움직임을 담당하는 회전근개라는 인대와 관절 사이를 이어주는 인대등이 있기 때문에 손상후 어깨통증이 있을 경우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부상예방과 응급처치
어떠한 스포츠 활동을 하더라도 준비 운동은 기본이다. 날씨가 추워지면 자연적으로 관절의 운동범위가 제한된다. 몸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운동 전 스트레칭으로 가볍게 몸을 풀어준다. 스트레칭은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늘려주어 신체 유연성을 높여준다.
기온이 낮아 체온이 쉽게 올라가지 않으므로 실내에서 준비운동을 하여 약간 땀이 나는 상태로 몸 상태를 유지하고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땀이 쉽게 식지 않도록 얇은 옷을 겹쳐 입는 것도 체온유지에 도움이 된다.
겨울 레포츠 시 안전장비 착용은 필수이다. 충돌의 가능성이 크고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이다. 안전수칙 잘 지키고 자신의 실력을 자만해서는 안된다.
만약 부상을 당했다면 부위 확인 후 충격을 주지 말고 부목으로 고정 뒤, 의무실을 찾아 응급처치를 받도록 한다. 이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관절 손상의 경우 초기에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해 두면 더 큰 병으로 악화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도움말=청주프라임병원 관절센터 윤경환 병원장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