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주류 소비·섭취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것이다.
이를 통해 보면 2013년 우리나라 국민의 주류 소비·섭취 실태는 ▲고위험 음주 경험 증가 ▲폭탄주 및 에너지폭탄주 섭취 확산 ▲건강한 음주를 위한 주류 섭취 습관에 대한 인식 증가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에너지폭탄주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일명 에너지 음료)와 술을 섞어 먹는 것을 말한다.
또 최초 음주 연령은 2012년 평균 20.6세에서 2013년 평균 19.7세로 낮아졌으며, 조사대상자 중 95.0%가 음주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의 1회 평균 음주량은 맥주 1잔(200ml)을 기준으로 남자는 6.5잔, 여자는 4.7잔을 마셔 국민들이 생각하는 적정 음주량(남자 4.9잔, 여자 3.8잔) 및 WHO가 제시한 저위험 음주량(남자 5.6잔, 여자 2.8잔)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주 평균 음주량은 1잔(50ml) 기준으로 남자는 7.8잔, 여자는 4.5잔으로 본인들이 생각하는 적정 음주량(남자 4.6잔, 여자 3.2잔)보다 많았다.
식약처는 이렇게 남녀 모두 본인들이 생각하는 적정 음주량 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은 잔돌리기·회식문화 등의 술문화로 인하여 적정 음주를 유지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고위험 음주 및 폭탄주 음주 비율 증가
한편 음주 경험자 중 하루 한 번의 술자리에서 소주를 남자는 8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 섭취하는 고위험 음주를 경험한 자의 비율은 2012년 68.2%에서 2013년 82.5%로 증가했다.
2013년 고위험 음주를 한번 이상이라도 경험한 비율을 연령대별로 20대와 30대가 86.7%와 8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대( 85.6%), 50대(80.5%), 60대(77.1%) 등의 순이었다.
또 음주 경험자 중에서는 55.8%가 폭탄주를 마시고 있었는데, 이는 2012년도 32.2%에 비하여 약 70% 이상 증가한 것이다.
폭탄주 경험자에게 마신 적이 있는 모든 폭탄주에 대해 조사한 결과, 소주와 맥주를 섞은 일명 ‘소맥’이 96.0%였으며, 위스키와 맥주가 34.4%, 소주와 과실주가 2.6%, 맥주와 과실주가 1.4% 등의 순이었다.
식약처는 폭탄주를 마시는 비율이 증가한 것은 ‘소맥’을 회식 등 술자리에서 많이 마시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특히 카페인이 많이 들어 있는 ‘에너지음료’와 술을 함께 섞어 마시는 에너지폭탄주 경험자는 2012년 1.7%에서 2013년 11.4%로 급격히 증가했는데, 더불어 음주 중 에너지음료를 마시는 비율도 2012년 6.2%에서 2013년 24.7%로 증가하였다.
또 2012년에는 30~50대 등에서 에너지폭탄주 음주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2013년에는 30대 14.2%, 40대 6.9%, 50대 4.4%, 60대 6.9%로 전 연령대로 에너지폭탄주 음주문화가 확산되었다.
이는 에너지 음료 자체 시장이 확대되고, 20대와 30대의 에너지폭탄주 섭취 경험이 전 연령대로 파급된 것 때문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