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DB |
이르면 내년부터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금융제도 개편을 통해 인터넷 전문은행을 허용하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금융제도 개편이 시행되고 이를 통해 인터넷 전문은행이 설립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부터 시중은행들이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오프라인 위주 금융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편할 조짐을 보여고 있기 때문.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오프라인 위주의 금융제도를 온라인이 포용할 수 있도록 개편하겠다"면서 "은행의 실명확인 절차를 합리화해 우리 여건에 맞는 인터넷 전문은행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점포 없이 인터넷과 콜센터에서 예금 수신이나 이체, 대출 등의 업무를 하는 은행을 말한다. 다만 고객이 은행 점포를 방문해 실명을 확인하는 금융실명제와 산업자본이 인터넷전문은행을 설립할 수 있도록 금산분리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
이에 대해 신 위원장은 “금산분리와 금융실명제가 큰 이슈인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우선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위해 고객이 은행에 직접 방문해 실명 확인을 해야 하는 기존 절차를 간단하게 줄이기로 했다. 예컨대 휴대전화나 공인인증서 인증 방식을 활용하고, 추후엔 화상이나 홍채 인식을 통해 실명을 확인하겠다는 방안이다.
이를 두고 은행권에선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만약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이 가능해지면 은행권에선 창구임대료와 인건비 등 비용절감이 가능해진다.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은 "제도적 기반이 형성되면 인터넷 전문은행을 자회사 형식으로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하지만 일각에선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점포 축소에 따른 구조조정 우려와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 계좌무단 이체 등 인터넷뱅킹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상황이어서 지금은 시기상조라는 것.
은행권 관계자는 "금산분리 규제완화와 구조조정 우려 등으로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에 대해선 대체로 부정적인 기류가 많다"면서 "실제로 설립되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