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박모씨(60대)도 유사한 일을 겪었다. 지난해 10월 방문판매사원이 이동통신요금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변경하면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장착 해주겠다고 해 신용카드를 건넸다. 한달 뒤 박씨는 신용카드 대금 청구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블랙박스 대금이 월 9만원씩 24개월 할부로 결제된 사실을 알게 된 것.
최근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주겠다며 소비자에게 접근, 교묘한 방법으로 구입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게 하는 얌체상술이 끊이지 않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방문판매사업자 등의 차량용 블랙박스 무료장착 상술에 속아 구입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한 소비자피해 상담이 지난 2012년부터 올해 2월 말까지 총 244건 접수됐으며 이 같은 상담이 지난해부터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블랙박스 무료사기. /자료=한국소비자원
◆"블랙박스 무료로…" 접근 후 100만~300만원 피해
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피해방식 중 블랙박스가 무료라며 접근해 장착한 후 선불식 통화권 구입을 유도하지만 결국 통화권을 지급하지 않거나 일부 금액만 지급한 후 연락을 끊는 ‘선불식 통화권 지급’ 상술이 83건(39.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용카드 포인트로 블랙박스 구입이 가능하다며 포인트 적립 가능 여부를 조회하겠다는 명목으로 신용카드 번호를 알아낸 뒤 대금을 임의로 결제한 ‘신용카드 포인트로 구입 권유’ 상술이 74건(35.6%)으로 나타났다.
또 이동통신요금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변경 시 블랙박스를 무상으로 장착해주겠다고 한 후 대금을 임의로 결제한 ’이동통신요금 결제수단 변경’ 상술이 29건(13.9%), 결제된 블랙박스 대금을 일정기간 동안 통장으로 환급해주거나 무료주유권으로 주겠다고 한 후 이행하지 않는 등의 ‘결제금액 환급·무료주유권 지급’ 상술이 22건(10.6%)으로 집계됐다.
소비자피해 상담 244건 중 결제금액이 확인된 196건을 금액대별로 살펴보면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99건(50.5%)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100만원 미만’ 79건(40.3%)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9건(4.6%) 등의 순이다.
판매방법은 ‘방문판매’가 143건(58.6%)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화로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장착해주겠다고 유인한 ‘전화권유 판매’ 80건(32.8%), ‘노상판매’ 21건(8.6%) 순이다.
소비자원은 이에 차량용 블랙박스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계약서 미교부, 청약철회 거부, 방문판매업 미신고 등 사업자의 법 위반 행위에 대해 관계기관에 위법 사실을 통보, “소비자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묘한 상술 피해가기
이 같은 교묘한 상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소비자원은 몇가지 주요 사항을 당부했다.
▲무료장착, 무료 통화권 제공 등 ‘무료’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 것.
▲계약을 할 때는 판매자의 방문판매업 신고여부를 확인할 것.
▲계약서상 청약철회 제한조건이나 부당한 위약금 조항은 없는지 꼼꼼히 살필 것.
▲신용카드번호,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 제공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할 것.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계약일로부터 14일 이내 서면으로 방문판매사업자 및 신용카드사에 청약철회를 요구할 것.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