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미약품의 주가는 전일보다 2만7000원(14.84%) 상승한 20만9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는 한미약품과 일라이릴리가 면역질환 등과 관련해서 한미약품의 BTK 저해제 HM71224의 개발과 상업화에 관한 라이선스 및 협력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신약은 임상 2상 진입이 준비돼 있으며 한미약품과 릴리는 류머티스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lupus) 및 관련된 신장염, 쇼그렌증후군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HM71224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계약금 5000만 달러와 단계별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총 6억4000만 달러 등 개발 성공 시 최대 6억9000만 달러를 받게 되며 상업화 이후에는 별도로 두 자릿 수 퍼센트의 판매 로열티를 받는다.
이관순 한미약품 사장은 “우리는 HM71224에 대한 전임상 및 유럽 1상 임상시험을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면역질환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번 계약을 기쁘게 생각하며 향후 진행될 릴리와의 R&D 협력이 관련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한미약품의 주가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존 의약업계 시가총액 1위였던 유한양행의 시총을 넘어섰다. 유한양행의 시가총액은 2조576억원으로 집계됐고 한미약품의 시가총액은 2조1383억원을 기록했다.
이승호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계약 체결에 따라 HM71224 신약 가치의 재조명과 추가 R&D 파이프라인의 성과 기대감으로 R&D 투자 확대 상위 제약회사 대상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