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행복지수'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성인 행복지수'
성인 행복지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조사전문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달 서울과 6대 광역시에서 만 20~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행복 조사'라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중 36%가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대상자 중 3분의 1 정도가 우울, 불안, 분노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의심되는 비율은 각각 28%, 21%였고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돼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대상자도 11%에 달했다.
특히 일생 중 한 번 이상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상담이나 치료를 받고 싶은 문제가 있었다는 응답 비율은 42%였으며 상담 받고 싶은 문제는 우울증이 44%로 가장 높았고 실제 치료를 받은 대상자 중 70%가 증상 호전을 경험했다.
한편 지난 3월 20일 유엔이 정한 ‘세계 행복의 날’을 맞아 한 여론조사기관이 세계 143개국의 사람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던진 결과, 한국인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100점 만점에 59점으로 나타났다.
세계 성인 행복지수 평균은 71점으로 우리나라 성인 행복지수는 한참 못 미치는 셈이다. 행복순위는143개 나라 중 118위에 머물렀다.
성인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파라과이 에콰도르 과테말라 등의 중남미 국가들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