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6 보조금

통신서비스업체들이 갤럭시 S6에 대한 보조금을 경쟁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6'의 공시 보조금이 일주일 사이에 10만원 이상 확대됨에 따라 갤럭시S6를 출고가보다 45%나 싼 값에 구매할 수 있게 됐다.

KT는 갤럭시S6 출시날인 지난 10일에 이어 17일에서도 경쟁사 대비 가장 높은 보조금을 베팅했다. 10만원대 요금제(2년 약정)를 기준으로 갤럭시S6 ▲32GB 32만7000원 ▲64GB 31만7000원, S6 엣지 보조금은 ▲32GB 25만원 ▲64GB 24만원으로 정했다.


소비자가 KT에서 갤럭시S6 32GB를 구매할 경우 보조금 32만7000원과 유통점 최대 보조금 15%(4만9500원)까지 받으면 48만15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출고가 85만8000원인 단말기를 약 45% 저렴하게 장만할 수 있는 셈이다.

6만원대의 중간요금제 사용자가 갤럭시S6 64GB과 갤럭시S6 엣지를 구입하기에는 LG유플러스가 조금 더 유리하다. LTE69요금제 기준 갤럭시S6 64GB 17만원, S6 엣지 32GB·64GB 14만원의 보조금을 실으며 경쟁사보다 1만원 정도 싼 값에 제공한다.

SK텔레콤은 KT와 LG유플러스가 보조금을 공시한 이후인 18일 뒤늦게 보조금 규모를 책정했다. 10만원대 요금제 기준으로 갤럭시S6 ▲32GB 24만8000원 ▲64GB 20만7000원, S6 엣지 ▲32GB 17만8000원 ▲64GB 16만8000원으로 공시했다.


이달 10일 경쟁사들보다 적게 보조금을 풀어 가입자 이탈로 고전한 만큼 18일에는 보조금이 11만원이나 뛰어올랐다. 가입 점유율 50%인 1위 사업자로서 더 이상 경쟁업체에 고객을 뺏기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24일부터 정부가 정한 요금할인(20%)이 시작된다"면서 "공시지원금이 더 적을 경우 가입자들이 요금할인을 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원금이 올라가는 건 당연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일주일 사이에 보조금이 껑충 뛰어오르자 구매를 망설이는 소비자들도 나오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보조금이 더 늘어나면서 구매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출시 첫 주와 둘째 주 보조금 차이가 이렇게 나는데 다음 주가 되면 가격이 더 내려가는 게 아니냐"는 글이 쇄도했다.

한 네티즌은 "24일부터 정부에서 지정한 20%의 요금할인율이 적용되는 만큼 보조금은 더욱 치솟을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