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니 지난해 10월, 6개월의 인턴기간을 모두 채우고 퇴사한 전 인턴행원이었다. 이날은 지점장의 초대로 회식자리에 참석했단다. 그로부터 6개월여가 흐른 지난 5월 한 저녁식사 자리에서 우연찮게 그 친구를 또 만났다. 아쉽게 두번째 만남에서도 기자는 그의 명함을 받지 못했다. 그는 “당시 인턴동기 중에서 60%는 아직도 취준생”이라며 씁쓸해했다.
왠지 지난 2007년부터 MB정부가 추진해 사실상 유명무실로 끝난 ‘금융권 인턴정책’의 실상을 보는 듯했다. 그렇다면 2015년의 모습은 어떨까. 그럴 듯한 전망을 내세운 건 8년 전의 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정부와 재계는 최근 오는 2017년까지 청년 일자리 20만개 이상을 새로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이렇다. 단기간에 청년 일자리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 교육과 보건, 보육 등의 분야에서 4만명 이상의 신규고용을 창출하고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민간 기업에 세제 및 예산 상의 혜택을 줘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을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다.
겉은 그럴 듯해 보인다. 하지만 이번 정부의 일자리 창출정책은 과거 은행 인턴 채용정책 때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정부가 발표한 내용을 뜯어보면 20만개 일자리 대책 가운데 13만개가량이 인턴과 직업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공공분야에서도 채용을 늘리겠다고 했는데 역시 정규직보다는 인턴 확대가 주목적이다.
이는 당장 청년실업자의 숫자를 줄이는 데는 도움이 될지 모른다. 그러나 인턴이 끝난 후 새로운 기업에 취업하지 못한 취준생에겐 시간허비, 자존감 상실 등의 상처로 돌아올 수 있다.
청년 일자리 창출의 핵심은 양질의 일자리와 장기근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이렇게 해야 청년들도 정부가 발표한 정책을 믿고 여러 상황에 대해 준비할 수 있다. 애초에 단기간 이벤트에 그칠 정책이라면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는 게 낫다. 정부의 어설픈 ‘숫자놀이’에 지치는 건 비단 청년만이 아니란 것을 왜 정부는 모르는 걸까.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95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