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질을 하면 관절에 생긴 염증을 치료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통증을 줄이고, 증상을 가라앉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온찜질의 경우 관절 주위 조직 긴장을 완화시켜 굳은 관절을 풀어주고 혈액순환과 관절액 활성화를 원활하게 준다. 하지만 같은 관절염이라 할지라도 류머티스 관절염이나, 통풍성 관절염의 경우 온찜질을 하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퇴행성 관절염과 외상성 관절염의 경우 온찜질이 도움 되지만 류머티스 관절염이나, 통풍성 관절염의 경우 냉찜질을 해야 한다.
류머티스 관절염의 경우 관절안에서 염증반응으로 인해 강직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 관절 주변은 항상 부어있고 열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통풍성 관절염은 요산이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고 몸속에 쌓여 염증과 부종을 동시에 일으키게 되는데 이 경우 온찜질을 하면 관절이 화끈거리면서 부종이 더 심해져 통증을 악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냉찜질은 혈류량을 떨어뜨려 출혈을 억제하고 저온 효과로 염증과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단, 너무 차가운 온도는 피부 동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30분 이내로 제한하고 부종이 줄어들 때까지만 해줘야 한다.
박원장은 “날이 추워져 어르신들이 찜질방을 찾는 경우도 많은데 장시간 땀을 빼면 칼슘, 인, 마그네슘 등 신체에 필요한 필수 미네랄의 체외 배출이 많아져 골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지나친 찜질을 주의해야 한다”며 “증상에 따라 적절한 찜질은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지만 통증을 줄이는 임시방편에 의지해 치료시기를 놓치지 말고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구로예스병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