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ale Day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유통기업들이 매출 상승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유통산업연합회(사무국 대한상의)가 K-Sale Day 참여 유통기업 매출실적을 분석한 결과, K-Sale Day가 시작된 11월 20일(금)부터 12월 6일(일)까지 17일 기간 동안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온라인쇼핑몰, 전자제품전문점 등 전 업종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크게 증가한 업종은 백화점이었다. 롯데, 현대, 신세계 백화점의 지난 17일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평균 11.2% 증가했다.

국내 백화점업계가 중국 광군절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사이버먼데이 등 국제적 쇼핑행사에 대응하기 위해 프로모션을 공격적으로 진행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대백화점은 코엑스에서 450억원 규모의 물량을 대방출한 ‘푸드&리빙페어’(11.18~22)를 실시해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10.1~15) 행사때 킨텍스에서 출장세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고, 12월 중순에 유사한 세일대전을 다시 한번 진행할 계획을 갖고 있다.

롯데홈쇼핑, SSG.com, 롯데닷컴, AK몰 등 온라인쇼핑몰은 11.20(금)∼12.6(일) 기간 동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했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 비슷한 시기에 다양한 기획전과 쿠폰행사를 실시하며 홍보전을 펼진 것이 효과를 봤다.

하이마트, 삼성디지털플라자, LG베스트샵, 전자랜드 등 전자제품 전문점도 같은 기간 평균 7.5% 매출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 직구족들이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가전제품 쇼핑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는 점에 착안해 삼성, LG 등 메이저 가전기업과 연계하여 적극적인 마케팅을 실시한 것이 주효했다.

그 외에도 대형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슈퍼마켓(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홈플러스익스프레스, GS슈퍼)의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7%, 1.9%씩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의 경우는 신규출점이 어렵다는 점에서 매출 상승폭이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명절, 휴가시즌과 같은 특별한 대목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내부적으로 선전했다는 평가다.

K-Sale Day는 지난달 20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총 26일간 이어지는 대규모 할인 행사로 유통 및 제조기업 총 102개사(12.7 기준)가 참여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백화점(7개社), 대형마트(5개社), 슈퍼마켓(4개社), 편의점(5개社), 유통전문점(12개社), 온라인쇼핑몰(17개社)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유통기업과 삼성전자·LG전자 등 제조사 11개사가 함께 참여하고 있다.

할인율은 업종과 업체별로 상이하지만 최대 50~90% 수준으로 매우 높다.

업종별로 백화점은 최대 10∼50%, 대형마트 및 슈퍼마켓은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생활용품 및 식품 위주로 10∼50%, 전자제품 전문점은 30∼50% 규모의 세일을 진행하고 있다.

K-Sale Day 행사 참가신청은 공식홈페이지(www.k-saleday.com)를 통해 가능하며 참여기업, 행사품목, 할인율 등 세부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홈페이지에 K-Sale Day 관련 경품 이벤트(~12.20)도 진행하고 있다.
유통산업 관련 협단체 7개(한국체인스토어협회, 전국상인연합회, 한국백화점협회, 한국편의점협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한국체인사업협동조합)와 유통기업 7개(농협중앙회,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GS리테일, 에브리데이리테일, 롯데슈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상의가 사무국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