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방사선'

컴퓨터단층촬영(CT),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 개인종합건강검진을 받는 것만으로 상당량의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김무영 서울의료원 가정의학과 교수 등 연구팀은 전국 건강검진기관 296곳의 검진 항목별 노출량을 조사한 결과 각 기관의 ‘기본 검진항목’만으로 평균 2.49mSv(밀리시버트)의 방사능에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원자력안전법 시행령에서 일반인에게 허용하는 연간 인공방사선 노출량(1mSv)을 넘는 수치다.

CT 등 건강검진 때 추가로 선택하는 ‘선택 항목’까지 보태면 건강검진의 방사선노출량은 더 올라간다. 선택 검진항목을 더한 경우의 방사선 노출량은 평균 14.82mSv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출량이 최대 30mSv 이상인 검진 기관은 31곳(10.5%)으로 집계됐고, 모든 검진항목을 더했을 때 방사선 노출량이 가장 많은 검진기관의 최대 노출량은 무려 40.1mSv에 이르렀다. 일반인은 자연에서 연간 2.4mSv 정도의 방사선에 노출된다. 우리 국민의 연평균방사선 노출량은 3.6mSv다. 건강검진 한 번으로 최대 11년치 방사선에 노출될 수도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100mSv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100mSv 미만 저선량 방사선 피폭에 대해서는 아직 학계에서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다만 연구팀은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한계선이 연간 50mSv인 점을 고려하면 개인종합검진의 방사선 노출량이 결코 안전한 수준이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건강검진 방사선'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