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 1900선이 무너졌다.
8일 오전 9시10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4.81포인트(0.81%) 내린 1888.95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개장과 동시에 0.78% 하락 출발했다. 같은 시각 개장한 일본 닛케이 평균은 2.3% 하락 중이다.
이는 밤 사이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하락한 탓이다. 7일(현지시간) 유럽 독일 증시와 영국 증시는 2%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미국 증시도 약세를 보였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전날보다 2.32% 하락한 1만6514.10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은 2.37% 떨어졌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03% 내렸다.
중국 증시 급락이 전 세계 증시 하락을 촉발시켰다. 전날 중국 런민은행은 중국 위안화 가치를 5년만에 최저치로 평가절하했다. 이 때문에 자본 유출 우려가 커지자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7% 넘게 떨어지면서 서킷 브레이커(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가 발동됐다.
대북 리스크도 증시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핵도발에 따라 우리 정부는 이날부터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8일 오전 9시10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4.81포인트(0.81%) 내린 1888.95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개장과 동시에 0.78% 하락 출발했다. 같은 시각 개장한 일본 닛케이 평균은 2.3% 하락 중이다.
이는 밤 사이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하락한 탓이다. 7일(현지시간) 유럽 독일 증시와 영국 증시는 2%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미국 증시도 약세를 보였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전날보다 2.32% 하락한 1만6514.10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은 2.37% 떨어졌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03% 내렸다.
중국 증시 급락이 전 세계 증시 하락을 촉발시켰다. 전날 중국 런민은행은 중국 위안화 가치를 5년만에 최저치로 평가절하했다. 이 때문에 자본 유출 우려가 커지자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7% 넘게 떨어지면서 서킷 브레이커(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가 발동됐다.
대북 리스크도 증시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핵도발에 따라 우리 정부는 이날부터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뉴스1(AFP 제공)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