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을 거듭하던 국제유가가 이란 경제제재 해제 이후 배럴당 28달러대로 주저앉았다.
1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는 마틴루서킹 목사 기념일로 휴장한 가운데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자거래에서 전 거래일보다 48센터(1.63%) 떨어진 배럴당 28.94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3월 인도분 브렌트유는 27센트(0.93%) 내린 배럴당 28.67달러로 장중 한때 27.67달러까지 밀리기도 했다.
이는 이란의 경제제재 해제와도 연결돼 있다. 이란은 이날 원유생산량을 하루 50만배럴 늘리는 지시를 내렸다. 이란이 증산을 본격화할 경우 국제 원유시장의 공급 과잉은 더욱 심화돼 유가가 더욱 떨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강유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증시 하락과 미국 원유·석유제품 재고 증가, 해외 기관의 유가 전망치 하향 조정에 따라 비관적인 투자심리가 확산하고 있다"며 "이란의 경제제재 해제 등으로 유가는 배럴당 20달러대에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본격적인 이란산 원유 수출로 인한 공급 경쟁,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 날씨에 의한 난방수요 저조 등으로 유가는 최소 1분기까지 약세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고 덧붙였다.
'국제유가 전망' /사진=머니투데이DB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