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북한 근로자 임금으로 유입된 외화가 북한 당국에 상납된다는 정부의 주장과 관련한 자료를 둘러싸고 홍용표 장관에 대한 '말 바꾸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통일부는 "홍 장관이 말을 번복했다거나 개성공단 자금 유입의 증거가 없다고 보도한 것은 장관의 발언 취지와 다르다"고 해명했다.
통일부는 지난 15일 해명자료를 내고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에 대한 임금과 기타비용의 70%가 당 서기실 및 39호실에 상납되고 그 돈이 핵과 미사일 개발이나 치적사업 또는 사치품 구입 등에 사용된다는 점은 KBS '일요진단'에서의 홍 장관 발언의 핵심 내용"이라며 "이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외통위에서의 홍 장관 발언에 대해 "당에 들어간 70%에 해당하는 자금이 핵과 미사일 개발이나 치적사업 또는 사치품 구입 등 여러 용도에 사용되므로 그중 핵과 미사일 개발에 얼마나 사용되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전했다.
끝으로 "통일부장관이 외통위에서 '송구하다'고 언급한 것은 이러한 취지의 내용을 적기에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것에 대한 이해를 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홍 장관은 이날 국회 외통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개성공단 상납 의혹에 대해 '자료가 있다'고 발언한 것은 "와전된 부분"이라며 "증거자료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이같은 우려가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취지"라고 말했다.
이어 "이에 대한 해명이 빨리 나오지 않다 보니 주장에 대한 증거자료가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며 의혹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고, 이와 관련한 '자료'가 있음을 의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개성공단 전면중단 사태와 관련한 긴급 현안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오대일 기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