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올해 총 3220명의 교원양성 정원이 감축된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의 교원양성 정원도 총 2만1530명에서 1만8310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부는 지난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15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제4주기 평가'(2015~2017년)의 1차연도 평가로, 사범대 및 교육대 62개교에 설치된 206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교육부는 이번 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57개 기관에 대해 교원 양성 정원을 30% 감축하고, D등급 28개 기관은 50% 감축하기로 했다. E등급을 받은 2개 기관인 인하대와 홍익대(세종) 교직과정은 폐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사범대 및 일반대 교육과 418명 ▲교직과정 1368명 ▲교육대학원 1434명 등 총 3220명의 교원양성 정원 감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는 교원양성 기관의 교육력과 책무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과잉 양성되고 있는 교원양성 규모를 적정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공립 중·고교 교원이 되기 위해서는 사범대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거나 일반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한 뒤 시·도교육청 주관의 임용고사에 합격해야 한다. 사립 중·고등학교는 교원을 자체적으로 선발한다.

지난해 중등교원 교원자격증 발급자는 2만3240명에 달했지만 공립학교 임용규모는 4600명(19.7%)에 그쳤다. 앞서 교육부는 2011~2014년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따라 전체 교원양성인원 14만8000여명의 26%에 달하는 3만8584명을 감축했다.


사진은 교육부. /자료사진=뉴스1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