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함께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갖고 대북제재에 대해 긴밀한 공조를 해나가기로 합의하는 한편, 북한의 추가 도발위협에 대해선 강력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50분부터 75분 동안 워싱턴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된 한미일 3국 정상회의를 마친 후 가진 대 언론 정상성명을 통해 "전례 없이 강력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가 채택된 만큼 이제 중요한 것은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 나감으로써 북한이 핵포기 없이는 생존할 수 없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고조되고 있는 북한의 추가 도발 위협과 관련해 미일 두 정상과 함께 국제사회가 북한의 도발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만약 북한이 또 다시 도발을 감행한다면 북한은 더욱 강력한 제재와 고립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 문제에 대해 (한미일 정상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서 "우리는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북한의 핵확산과 핵위협을 억제할 수 있기 위해선 (한미일) 3자 안보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도 "지금 3국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봤을 때, 한미일 협력을 안보 분야에서 추구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면서 "북한은 지금 핵과 미사일 능력을 점점 더 강화하고 있다"며 "이것은 3국 뿐 아니라 글로벌 사회에도 심각한 위협"이라고 밝혔다.

이날 한미일 3자 정상회의는 2014년 3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 계기 한미일 정상회의 이래 2년 만에 개최되는 것으로, 3국 정상은 북핵 위협 관련 공동 대응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가졌다. 박 대통령의 한미일 정상회의 참석은 취임 후 이번이 두 번째다.


박근혜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오전 핵안보 정상회의가 열리는 미국 워싱턴 컨벤션 센터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마친 후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