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말해 뼈암으로, 모든 부위의 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긴뼈의 말단, 또는 무릎에서 주로 나타난다. 상대적으로 10~30대의 젊은 연령층, 성별로는 남성의 발병률이 높다. 우리나라 연간 발병환자는 100여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주요 증상은 뼈에서 느껴지는 통증이다. 팔, 다리, 골반 등 인체 뼈의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무릎 주변의 뼈이다. 발병 초기에는 운동할 때만 통증을 느낀다. 운동을 멈추면 통증이 사라져 타박상, 근육통으로 착각할 수 있다. 하지만 골육종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통증이 계속되고 종양 발생 부위가 붓는다.
골육종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과거에 어떤 질환으로 인해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나 암이 잘 발생하는 특정 질환 증후군이 있는 경우이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골육종 환자는 이런 발병 원인을 갖고 있지 않고 발병 원인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골육종을 예방하는 것도 어렵다.
골육종을 의사가 의심하게 되는 것은 단순 방사선 촬영(X-ray)에서 이상 소견이 보일 경우이다. 이렇게 골육종이 의심될 경우 골 종양을 전문으로 하는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의뢰하게 된다. 골육종의 확실한 진단은 조직 검사(조직의 일부를 떼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를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골육종의 치료에 쓰일 수 있는 방법은 수술, 항암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진단 당시 전이의 유무가 가장 중요하게 예후를 결정 짓는 인자로, 전이가 없는 경우 5년 생존율(진단 후 5년이 지났을 때 환자가 생존해 있을 확률)은 약 60~70%, 전이가 있는 경우는 5년 생존율이 약 20~30%이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