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재계와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는 아트펀드 횡령 의혹 사건을 넘겨받아 조 전 부사장이 조 사장을 고발한 사건과 함께 수사 중이다.
앞서 조 전 부사장은 2014년 효성그룹의 방만한 경영과 비리 의혹과 관련해 조 사장과 효성 계열사 전·현직 임직원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또한 조 사장이 미술품을 사고팔아 수익을 내는 아트펀드를 운용하면서 회사에 수백억원의 손실을 기록(배임)하고 수억원의 차익을 비자금으로 숨겨 횡령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최근 검찰은 아트펀드 관련 의혹과 조 사장 피고발 사건 수사를 위해 전 효성 임직원과 유명 갤러리 대표 A씨 등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효성 오너가를 겨냥한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되면서 재계에 대한 광범위한 사정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검찰은 총선 직후 국세청이 부영그룹과 이중근 회장을 탈세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특수1부에 배당해 수사키로 했다. 기업 수사를 전담하는 특수부가 사건을 맡으며 부영의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수사가 확대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또한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는 현대건설·두산중공업·한진중공업·KCC건설의 2018년 평창 올림픽 기반시설인 ‘원주~강릉 고속철’ 공사 입찰 담합 의혹을 수사 중이다.
김수남 검찰총장은 지난해 12월 취임사에서 “사회통합을 가록막는 장애물인 ‘부정부패 척결’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사회지도층 비리, 기업·금융 비리, 방위사업 비리 등 사회 곳곳에 남아 있는 구조적이고 고질적인 비리를 발본색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