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국현 KT 마케팅부문장이 26일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업전용 LTE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허주열 기자
기업 업무에서 모바일의 비중이 갈수록 커지는 있는 가운데 ‘보안·속도·비용’ 세 마리 토끼를 잡은 기업전용 LTE 모바일 서비스가 출시됐다.
KT는 26일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 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 최초로 기업전용 LTE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기업전용 LTE는 빠른 속도와 안전성이 검증된 KT의 LTE 전국망을 기반으로 각 기업의 환경에 따라 무선에서도 전용회선과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기업 전용 게이트웨이를 통해 일반 무선 인터넷망과는 완벽히 분리된 환경에서 기업 내부망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최고 수준의 보안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또한 기업전용 LTE는 기존 WiFi, TRS, Wibro 등으로 사내 무선망을 구축해 이용하던 것과는 달리 전국 상용 LTE 속도 그대로 기업에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50배 빠르고 쾌적한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기업들은 기업전용 LTE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 구축 및 운용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전국망으로 구축된 상용 LTE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 보수비용 부담이 거의 없고 별도 투자 없이 지속적으로 속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임직원들은 기업전용 LTE 애플리케이션 ‘ON-OFF 함’에 따라 사내망에 접속 가능한 ‘업무모드’, 개인폰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개인모드’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래픽=KT
기업전용 LTE는 사업환경에 따라 Zone형, 전국형, 특정 고객형, 불특정 고객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Zone형은 임직원이 회사가 지정한 특정 지역에서 기업전용 LTE로 사내망에 접속하는 형태로 강력한 보안 정책이 필요한 연구소, 대규모 산업단지와 공장 등에 적합하다.
전국형은 임직원이 전국 어디에서나 애플리케이션 ON-OFF만으로 기업전용 LTE를 통해 사내망에 접속하는 형태로 이동이 잦은 경찰, 소방서, 영업직군, 보험사 등에 특화됐다.
특정 고객형은 기업전용 LTE에 가입한 법인이 특정 인원과 특정 지역을 선택해서 운영하는 방식으로 대학 캠퍼스, 아파트 단지 등에 적합하다.
불특정 고객형은 특정 지역에 진입한 누구에게나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하철, 공항, 테마파크 등에서 이용이 예상된다.
이와 함께 기업전용 LTE는 KT의 다양한 기업 솔루션과 결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할 경우 기대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
KT는 물류, 유통, 영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전용 LTE 서비스 이용기업을 2018년까지 1000개 기업까지 확대하는 게 목표다. 같은 기간 임직원 이용자 100만명 이상, IoT를 포함해 500만 기기 이상에서 기업전용 LTE를 제공할 계획이다.
강국현 KT 마케팅부문장(전무)은 “기업전용 LTE는 기업과 구성원 모두에게 업무환경개선 및 비용절감 혜택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라며 “기업전용 LTE 서비스가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국가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