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에 관심이 많은 젊은 도시 남성, 이른 바 ‘여미(YUMMY)족이 증가함에 따라 구두 선택 시 스타일과 디자인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2005년부터 10년간 무지외반증 진료인원을 분석한 결과 남성환자는 2005년 3200명에서 2014년 8800명으로 2.7배나 늘어났다. 이는 같은 기간 2.3배 증가한 여성 환자 증가율보다 높은 수치이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면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돌출되거나, 심하게는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의 위나 아래로 엇갈리면서 엄지발가락에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하이힐을 많이 신는 여성들에게서 주로 나타나 ‘하이힐병’이라고도 불리는데, 최근 외모에 관심이 많은 남성이 키높이 구두나 통이 좁고 딱딱한 구두를 신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남성 무지외반증 환자도 늘고 있는 것이다.
무
무지외반증 초기에는 평소 신발을 잘 선택해서 신는 것만으로도 엄지 발가락의 변형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신발을 고를 때 가장 긴 발가락보다 5mm 정도 크고 양발 중 발볼이 더 큰 발에 맞춰 신발을 선택하여 평소 신발이 발을 쪼여 발 건강을 해치는 것을 피해야 한다.
하지만 엄지발가락의 변형으로 인해 일생생활에서 통증이 나타난다면 튀어나온 엄지발가락 발등뼈의 절골 수술 후 교정하여 핀을 고정하는 교정 절골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부분마취로 수술이 진행되어 수술에 대한 부담이 적어 만성환자나 고령의 환자도 안심하고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형외과 전문의 이광남원장은 “평소 높은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는 것을 가급적 피하고 뾰족한 신발을 신은 후에는 충분한 발가락 스트레칭을 통해 발가락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