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무릎 건강은 삶의 질과 직결돼 있다. 때문에 무릎에 이상 신호가 발견되면 곧바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질환 가운데 가장 흔한 병으로 연골이 닳아서 생긴다. 이는 지속해서 무리하게 관절을 사용해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연골이 닳아 발병하는 것으로 주로 여성, 비만 환자, 노년에게 나타난다. 하지만 30~40대들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오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은 관절에 무리가 가기 쉽다.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무릎관절질환은 반월상연골손상이다. 반월상연골손상은 무릎관절을 이루는 허벅지뼈와 종아리 사이에 위치한 연골 조직이 손상된 것으로 과도한 운동으로 연골이 마모되거나 격한 움직임으로 무릎이 뒤틀어지고 꺾이는 경우에 생길 수 있다.
또 슬개골연골연화증은 무릎 연골이 약해져 통증이 생기는 병으로 주로 하이힐을 즐겨 신는 젊은 여성들에게 나타난다. 교통사고 등 심한 충격이나 일상생활 중 무릎을 꿇는 자세, 쪼그려 앉는 자세, 계단을 오르내리는 행동 등도 발병 원인이다.
무릎이 붓고 열나는 무릎점액낭염은 걷거나 경사진 곳을 오를 때 통증이 발생한다. 이 질환은 단단한 바닥에 오랫동안 무릎을 꿇고 앉아있거나 무리한 운동을 반복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무릎 질환은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신속히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단순 통증이 시간이 지나면서 악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진단 후 경미한 증상은 약침이나 봉침 요법으로 미리 치료해야 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