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초 범지역 LCC 항공동맹 ‘밸류 얼라이언스’
다양한 네크워크로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기회
아·태지역을 묶는 저비용항공사(LCC)들의 항공동맹이 출범했다. LCC들은 항공기 특성상 특정 지역에서의 운항에 집중했지만, 이번 동맹 결성으로 소비자들의 다지역·다구간 여행이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16일(현지시간) 각 지역을 대표하는 아시아 태평양지역 8개 LCC들은 싱가포르 아이온 스카이(ION Sky)에서 세계 최대규모의 LCC(Low Cost Carrier) 항공동맹인 ‘밸류 얼라이언스(Value Alliance)’를 결성했다.
동맹에 참여한 파트너 항공사는 ▲세부퍼시픽 ▲제주항공 ▲녹에어 ▲녹스쿠트 ▲스쿠트 ▲타이거에어싱가포르 ▲타이거에어오스트레일리아 ▲바닐라에어 등으로 동남아시아, 북아시아, 호주 지역을 아우른다.
◆밸류 얼라이언스의 특징은?
LCC들의 대규모 동맹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계열사간 동맹을 맺는 경우가 있었지만, 여러지역의 여러 항공사가 손을 잡은 적은 없었다.
이번 동맹의 핵심은 예약시스템이다. 이용자들은 밸류 얼라이언스에 참여한 모든 항공사의 홈페이지에서 에어 블랙 박스(ABB: Air Black Box)라는 예약시스템을 활용해 8개 회원사의 다양한 노선과 운임을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게 된다. ABB는 단순 좌석예약과 기내식이나 좌석 선택, 여행자보험 등 회원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이용에 초점을 맞췄다.
노선도 크게 늘어난다. 취항지는 아시아태평양지역 160개 도시며, 8개 회원사가 운용 중인 176대 항공기로 다양한 노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됐다. 8개 회원사들은 지난해 각 지역 17개의 허브공항에서 160개 도시로 모두 4700만명을 수송했다.
캠벨 윌슨 스쿠트항공 CEO는 “밸류 얼라이언스에 참여하는 8개 회원사 모두가 각 지역을 대표하는 LCC”라며 “회원사가 함께 협업해 보다 많은 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경쟁력 있는 항공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항공 최규남 대표는 “지역을 대표하는 LCC 얼라이언스 결성은 소비자 편익 확대는 물론 회원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맹 참여한 제주항공, 득 될까
동맹에 참여한 제주항공은 장거리 노선에 신규 취항하는 효과를 누리게 됐다. 현재 운용 중인 B737-800 항공기의 운항범위 밖 도시에 새로운 목적지를 추가함에도 대형기를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 동맹 항공사의 노선을 통해 현재 취항중인 일본, 중국, 동남아 등을 넘어 호주와 인도네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등도 예약이 쉬워져서다. 이 경우 소비자들도 다구간 여정 예약이 가능해진다. 회원사들은 예약시스템을 통합하는 작업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서비스 시작을 계획 중이다.
또 제주항공은 해외 현지에서의 영업비용 감소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취항도시에서 해당 국적기보다 인지도가 떨어지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지 판매대행 업체를 활용하면서 지불했던 비용도 줄어드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각 지역 대표 LCC의 홈페이지를 통해 제주항공 노선이 노출되는 것도 기대효과다.
제주항공 최규남 대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LCC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항공사는 결국 도태될 것”이라며 “지역을 대표하는 LCC 얼라이언스 결성은 소비자 편익 확대는 물론 회원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에서 LCC 비중은 공급좌석을 기준으로 2007년 1억196만1000석에서 2015년에는 3억9028만2500석으로 3배 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