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 업소. /자료사진=경기연구원 보고서
‘노키즈존' 업소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노키즈존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도 엇갈리는 모양새다. 노키즈존 업소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설문결과가 발표되는가 하면 반대로 노키즈존 업소에 대해 불매운동을 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노키즈존은 최근 몇 년 사이 음식점 등 서비스 업소들 사이에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노키즈존을 적용한 업소는 대체로 만 13세 이하 영유아를 동반한 손님의 출입을 막고 있다. 영유아들이 업소에서 심하게 장난을 치거나 떠드는 등 다른 손님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일이 늘면서 업주들이 이같은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이다.
특히 영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소변을 누이는 등 타인을 배려않는 부모들의 행동도 노키즈존 설치에 영향을 미쳐 한동안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다. 일부 부모의 이런 행태를 두고 지난해에는 온라인상에서 ‘맘충’이라는 극단적인 비하표현이 유행하기도 했다.
만 5세 미만 아동 인구 비율이 17.8%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기도는 지난 2월 연구를 의뢰해 노키즈존 업소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을 물었다. ‘노키즈존 확산,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 연구에는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도 포함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 대부분이 공공장소에서 아이들 때문에 불편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무려 93.1%가 불편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72.2%는 카페나 음식점에서 불편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노키즈존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아이를 방치하는 것이 잘못됐다는 견해도 절반에 가까웠다. ‘공공장소에서 아이를 방치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49.4%로, ‘이해할 수 있다’는 응답은 27.9%밖에 되지 않았다.
또 응답자의 63.5%는 ‘고객으로서 소란스런 아이들로부터 방해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밝힌 반면 ‘그렇지 않다’는 비율은 6.7%였다. ‘아이의 기본권보다 고객의 행복추구권이 우선이다’는 견해도 51.4%에 달해 ‘아이의 기본권이 우선한다’는 견해 15.7%를 압도했다. 전반적으로 노키즈존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온 셈이다.
취업사이트 '알바몬'에서도 아르바이트생 1084명에게 '근무 중인 매장이 노키즈존으로 변경된다면 찬성할 것이냐'고 물은 결과 찬성의견이 65.5%로 나타난 결과를 발표했다. 근무 도중 '유아 또는 유아를 동반한 고객으로 인해 곤란을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아르바이트생도 67.7%나 돼 손님 뿐만 아니라 업소에서 일하는 직원들도 영유아들 때문에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즈존을 설치했다가 동네주민들의 불매운동을 경험했다고 주장하는 내용의 글. /사진=사이트 캡처
한편 늘어나는 노키즈존에 대해 불매운동을 전개하겠다는 이들이 나타나 논란이 되기도 했다. 최근 인터넷 포털 게시판에는 노키즈존을 설치했다가 동네주민들의 불매운동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글이 올라왔다. 아이를 동반한 부모들의 잦은 민폐성 행위로 노키즈존을 적용했더니 동네주민들이 온라인카페에서 상호까지 거론하며 불매하겠다는 의견을 냈다는 것이다.
법률상 영유아들에게 영업방해에 대한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해서 업주들은 노키즈존과 같이 강제로 특정 고객의 입장을 제한하는 방식을 쓸 수밖에 없다. 거꾸로 영유아를 키우는 부모들의 경우 각종 서비스업소를 이용할 수 있는 폭이 좁아지게 된다. 한동안 노키즈존을 둘러싼 갈등이 수그러들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