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 만혼, 딩크족의 길을 택한 이들은 “결혼과 출산으로부터 오는 경제적, 심리적 부담감에서 벗어나 ‘행복’을 찾을 수 있었다”, 혹은 “행복을 기대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결혼과 출산을 한 이들은 행복하지 않은 것일까? 국내외 연구와 통계 결과는 이 질문에 대해 “NO”라고 외친다. 결혼과 출산이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고 심지어 재정적 안정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
결혼과 출산이 우리에게 주는 긍정적 영향은 무엇일까? 결혼정보업체 가연이 지금 결혼과 출산을 고민하는 당신에게 알려준다.
◆ 혼자보다 둘일 때 돈 더 잘 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유진 기초보장연구실에서 발간한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의 통합 분석 및 함의’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2011년 독신청년(청년단독)과 청년부부의 소득과 재산 변동을 분석한 결과 독신청년의 소득, 재산은 9년간 감소했지만, 청년부부는 크게 증가했다.
전체가구의 평균을 100으로 놓고 볼 때, 독신청년의 가처분소득은 2003년 71.6에서 2011년 67.6로 줄었으며 순재산은 23.0에서 22.4로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청년부부의 가처분소득은 108.2에서 132.3으로, 순재산은 52.9에서 78.1로 각각 큰 폭으로 늘어났다.
연구진은 '고(高)스펙'을 가졌거나 경제적인 형편이 좋은 사람들이 결혼을 통해 소득·재산이 증대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 외에 결혼으로 인한 소득·재산 시너지 효과의 강화, 결혼 이후 맞벌이 지속 비율의 증가 등도 청년부부 소득증대의 원인으로 꼽았다.
◆ 기혼남녀 71% 결혼이 직장생활에 도움된다
기혼남녀 10명 중 7명은 결혼이 직장생활에 해가 되기보다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업체 가연이 100쌍의 성혼커플(남100 여100)을 대상으로 ‘결혼 전후와 직장생활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가 결혼이 직장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도움이 되는 이유로는 “심리적으로 안정적이라 업무 집중이 잘 된다(43%)”가 가장 많았고, “퇴근 후 불필요한 만남을 자제하게 돼 자기계발에 도움이 된다(26%)”, “책임감이 생겼다(18%)”, “업무에 관한 의논을 부담없이 할 수 있다(1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결혼하면 행복해진다
결혼을 했거나 연애 중인 사람이, 미혼이거나 연애를 하지 않는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는 조사결과도 있었다.
지난 2014년 입소스(ipsos)와 로이터가 공동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15개국 1만 8,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지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73%가 행복하다고 응답했는데 그 중 연애 중인 사람은 78%가 행복하다고 응답한 반면, 연애를 하지 않는 사람은 67%만이 행복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기혼이거나 연애 중인 사람과 그렇지 않은 미혼, 이혼, 미망인으로 응답자를 나누어 비교해 결과를 분석한 결과였다.
◆결혼해야 오래 산다
결혼은 건강뿐 만 아니라, 생명 연장에도 도움을 준다. 의사인 마이클 로이센 박사는 기혼 남성은 독신 남성보다 평균 10년 더 오래 살고, 같은 나이라도 기혼 남성은 신체연령이 3년 더 젊다고 말한다. 국내 연구 결과 역시 이와 같은 의견을 보였다.
울산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강영호 교수팀이 1998년부터 6년간 30세 이상 성인 54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혼자는 기혼자에 비해 사망률이 6배 높았다.
◆자녀 많이 낳을수록 난소암 위험은 낮아진다
지난해 리버풀에서 열린 영국국립암연구소 학술회의에서는 “출산경험과 남소암의 위험은 반비례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연구를 주도한 케지아 게이트스켈 박사는 자녀를 하나 둔 여성은 자녀를 출산한 일이 없는 여성에 비해 난소암 위험이 20% 낮고 자녀를 더 낳을 때마다 난소암 위험은 8%씩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