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노사 상생을 기본으로 하는 '노동을 생각하는 광주형 노동정책' 과제를 17일 최종 확정하고 본격적인 실천에 들어갔다.
새로 마련된 정책은 '노동을 생각하는 광주시'를 정책 비전으로 노동권리보호 기반체계 구축과 모범적인 사회적 대화모델 정립 등 2대 정책 목표다. 또 노동환경과 산업실태 조사 및 분석, 사회통합형 일자리창출과 연계한 노동정책 발굴, 취약계층 노동자의 근로조건 개선 및 노동권리 보호 기반체계 구축 등 5개 과제에 54개 단위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민선6기 들어 사회 양극화 해소와 좋은 일자리 만들기, 상생적 노사관계로의 변화 발전, 사회통합형 광주형 일자리 창출 등 광주의 특성을 반영한 종합적인 노동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지난해 10월 '노동정책수립을 위한 TF팀'(4개 분야 20명)을 구성했다.
TF팀에는 한국노총·민주노총 등 양대 노총과 공공운수노조 등 노동계, 경영계, 시민단체, 시의회 등으로 구성했다.그동안 노동정책수립TF팀 운영(10회), 워크숍 및 간담회 개최 등 소통을 거쳐 광주형 노동정책 단위과제를 발굴하고 노동정책의 추진 근거로 '근로자 권리보호 및 증진을 위한 조례'를 마련했다. 이 조례안은 지난 13일 시의회 본회의를 통과, 7월 중 시행될 예정이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이번 노동정책은 단순히 구호에 그치는 노동자 보호가 아닌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동자가 체감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라며 "광주의 특성을 반영한 이번 정책을 적극 추진해 노동을 생각하는 광주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새로 마련된 정책은 '노동을 생각하는 광주시'를 정책 비전으로 노동권리보호 기반체계 구축과 모범적인 사회적 대화모델 정립 등 2대 정책 목표다. 또 노동환경과 산업실태 조사 및 분석, 사회통합형 일자리창출과 연계한 노동정책 발굴, 취약계층 노동자의 근로조건 개선 및 노동권리 보호 기반체계 구축 등 5개 과제에 54개 단위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민선6기 들어 사회 양극화 해소와 좋은 일자리 만들기, 상생적 노사관계로의 변화 발전, 사회통합형 광주형 일자리 창출 등 광주의 특성을 반영한 종합적인 노동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지난해 10월 '노동정책수립을 위한 TF팀'(4개 분야 20명)을 구성했다.
TF팀에는 한국노총·민주노총 등 양대 노총과 공공운수노조 등 노동계, 경영계, 시민단체, 시의회 등으로 구성했다.그동안 노동정책수립TF팀 운영(10회), 워크숍 및 간담회 개최 등 소통을 거쳐 광주형 노동정책 단위과제를 발굴하고 노동정책의 추진 근거로 '근로자 권리보호 및 증진을 위한 조례'를 마련했다. 이 조례안은 지난 13일 시의회 본회의를 통과, 7월 중 시행될 예정이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이번 노동정책은 단순히 구호에 그치는 노동자 보호가 아닌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동자가 체감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라며 "광주의 특성을 반영한 이번 정책을 적극 추진해 노동을 생각하는 광주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