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맞춤형 학과. 이영 교육부 차관이 오늘(4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공용브리핑실에서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

교육부는 2020년까지 사회맞춤형학과 입학생 10명 중 7명의 산업체 취업을 보장하는 내용이 담긴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을 오늘(4일)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이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인력 수급 불균형(미스매치)과 청년 취업난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그동안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실용적 인재 양성을 위해 1994년과 2003년부터 각각 사회맞춤형학과(주문식 교육과정)와 계약학과를 운영해왔지만 기대만큼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데 따른 대책이다.

교육부는 계약학과에 입학한 학생의 산업체 취업률을 지난해 91.4%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90%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사회맞춤형학과에 입학한 학생의 산업체 취업률을 지난해 32.6%에서 ▲올해 40% ▲2017년 55% ▲2020년 70%로 단계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계약학과·사회맞춤형학과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 수도 2015년 모두 7421명에서 ▲올해 8000명 ▲2017년 1만5000명 ▲2020년 2만5000명으로 늘려나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산업체 요구에 맞춘 교육을 이수한 학생이 졸업과 동시에 해당 산업체나 협력업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업체가 원하는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산업체 관계자가 학생 선발 과정에 면접관으로 참여해 원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신입사원 채용절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관련 학과의 입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산업체가 요구하는 우수한 인재 양성이 인력 미스매치와 청년 취업난 해소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교육부는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를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