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잠수함. 김재현 이스타항공 부기장이 SLBM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구름을 뚫고 비행하는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사진=뉴시스
핵잠수함을 도입, 보유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국방부가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오늘(29일)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현 상황에 대한 우려 속에서 나온 말씀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현재 핵추진잠수함에 관해선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변인은 "미군 핵추진 잠수함이 활동하면 우리 군은 따로 갖출 필요가 없다고 봐도 되느냐"는 질문에 대해 "별개의 문제라고 본다"며 "미 자산은 미 자산대로이고 우리는 우리의 전력증강 방향에 따라 검토되는 사안"이라고 답해 핵잠수함의 보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또 문 대변인은 북한의 SLBM 위협과 관련 대잠수함 작전 능력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질문에 대해 "자항기뢰라든지, 장보고-Ⅲ 등과 같은 것들의 조기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계획을 전했다.
한편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북한 SLBM 발사를 규탄하며, 이를 봉쇄하기 위한 핵 추진 잠수함 배치를 정부에 촉구했다. 같은 날 열린 당 대표·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정 원내대표는 군 당국이 핵 추진 잠수함을 도입하는 등 북한 SLBM 발사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특단의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