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톨링 시스템. /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30일 확정한 ‘제1차 국가도로종합계획’에 단순한 도로확장 뿐 아닌 도로서비스 개선과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미래도로 구축에 대한 내용이 담겨 화제다.

정부는 우선 다각적 노력을 통해 간선도로의 혼잡구간을 2020년까지 41% 줄여나갈 계획이다. 현재 고속도로와 일반국도의 서비스수준 D 이하 혼잡구간은 3899km인데, 이를 2306km로 감소시키겠다는 것.


이와함께 자율주행, AI, 환경, 에너지, 통일 등 미래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미래도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 지능형 교통신호, 빅데이터 활용

도로서비스 개선은 도심부 간선도로까지 교통예보를 확대하고, 지능형 교통신호를 활용한 신호체계 개선, 우회국도 안내서비스 등 교통운영을 효율화하는 것이 핵심 추진과제다.


정부는 대규모 통행권 발급이 필요없는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전면시행해 민자고속도로의 통행료 격차 문제를 해소하고, 감면제도를 개편하는 등 통행료 체계도 합리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하이패스를 이용한 ‘하이패스 페이’를 도입해 고속도로 통행료 외에도 주유소, 주차장 이용요금을 하이패스로 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하이패스를 통해 축적된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하이패스 주차장, 도심 주요시설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된다.

2018년까지는 전국 모든 고속도로 휴게소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등 친환경 충전 인프라도 지속 확충할 계획이다.

◆ 미래형 도로 ‘7대 비전’… 스마트‧친환경 핵심

정부는 이와함께 자율주행‧AI 등과 융합해 기존 도로를 초월(Transcend)하는 새로운 도로를 만든다는 뜻으로 ‘트랜스로드(TransRoad) 7대 비전’을 마련했다.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도로를 구축함과 동시에 소음과 분진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해내는 도로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미래도로 비전. /제공=국토교통부


먼저 2035년까지 도시부 도로까지 완전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교통관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도로를 실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AI, 로봇 등을 활용하여 유지관리를 자동화하고, 파손된 포장 등을 스스로 복구하는 자기치유형 도로 소재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풍력․압전․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도로를 만들고, ‘무선충전 차로’ 개발도 추진한다. 1인 교통, 친환경 차량 확대에 따라 도로가 슬림화․개방화되고, 소음․분진․진동이 없는 생활친화형 도로를 개발하는 한편 조립식 도로 등 새로운 건설기술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