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드 알 팔리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장관. /사진=머니투데이 DB
이라크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에서 자국을 면제해줄 것을 요구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자칫 사우디가 감산 쿼터를 짊어져야할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OPEC 회원국들은 알제리에 모여 전체 산유량을 일평균 3250만배럴에서 3300만배럴 사이로 축소하기로 합의했다. 국가별 감산 수준은 다음달 말 비엔나 정기회의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다만 최근 이라크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의 전쟁 상황을 이유로 감산 의무를 면제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미 이란과 나이지리아, 리비아가 감산 의무를 면제 받는 상황이라 OPEC의 수장인 사우디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이라크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사우디는 이들의 감산 쿼터를 대신 떠안으면서 시장 점유율 축소를 감내해야 한다. 이 네 국가의 산유량은 OPEC 전체 생산의 3분의 1을 넘는 규모다. 아니면 감산 합의를 무효화해야 하는데 이는 석유 카르텔의 신뢰를 실추시킨다는 지적이다.

알제리 회담에서 도출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평균 130만배럴을 감산해야 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악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가 일평균 100만배럴 이상의 원유 생산을 줄여야 한다.

토브욘 추스 DNB뱅크 투자전략가는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가 각각 일평균 40만배럴, 10만배럴의 원유를 감산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다른 회원국들의 감산 쿼터는 예상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