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사용액이 꾸준히 늘면서 잠자는 포인트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대다수 고객이 잊어버리거나 귀찮아서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넘기는 경우가 허다해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소멸된 신용카드 포인트는 3457억포인트에 달한다. 통상 ‘1포인트=1원’인 점을 감안하면 3460억원가량이 사라진 셈이다. 올 상반기에도 카드포인트 소멸액이 681억원이다. 지나치기 쉬운 신용카드 포인트 활용방안을 소개한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대금결제에서 세금납부까지
신용카드 포인트는 가맹점에서 물품·서비스 결제 시 적립되는 게 보통이다. 이렇게 쌓인 포인트는 카드사와 제휴된 다른 가맹점에서 할인혜택이나 각종 서비스를 받을 때 주로 사용되지만 이외에도 사용처가 무궁무진하다.

우선 신용카드 결제대금으로 쓸 수 있다. 보통 1포인트당 1원인 포인트를 한달간 쌓은 뒤 대금결제 시 사용하면 현금을 아낄 수 있다. 사용방법도 어렵지 않다.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포인트 결제대금 전환신청을 하면 된다. 단 카드사용 정지 후 미납금액과 잔여금액을 분할해 납부하는 대환대출을 이용할 때는 포인트 사용이 불가능하다. 카드사용이 정지된 상태기 때문이다.

신용카드 포인트는 금융결제원 세금납부 사이트 ‘카드로택스’에서 세금납부용으로 쓸 수 있다. 부가가치세 및 양도소득세 등의 국세는 물론 범칙금 등 경찰청 과태료, 관세 등을 포인트로 납부할 수 있다. 연중무휴 온라인 납부와 현금인출기 방식 모두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공인인증서가 없거나 인터넷 이용이 어렵다면 가까운 세무서 수납창구를 방문하면 된다. 이외에도 한국전력 사이버지점에 접속하면 카드포인트를 사용해 전기요금을 납부할 수 있다.


◆기부하면 소득공제 혜택 ‘일석이조’

포인트 기부도 가능하다. 각 카드사의 홈페이지나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포인트를 기부하면 카드사가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해 사회공헌활동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히 연말에는 개인이 기부한 만큼 카드사가 같은 금액을 더해 사회에 기부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처럼 포인트를 기부하면 현금기부와 동일하게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어 일석이조다.

ATM(현금자동입출금기)에서도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해 찾을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카드사가 이 제도를 시행 중이며 삼성카드 사용자도 내년부터 이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포인트몰을 이용하는 것도 포인트 활용방안이 될 수 있다. 카드사들은 보통 자체 포인트몰을 운영하는데 제휴한 가맹점보다 할인혜택이 크고 포인트 활용폭도 넓다.

한편 자신의 신용카드에 얼마만큼의 포인트가 쌓였는지 모른다면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조회’ 앱을 사용하자. 본인이 사용 중인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잔여포인트 ▲소멸 예정 포인트 ▲포인트 소멸 예정일 등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롯데·비씨·삼성카드 등 총 10개사의 카드가 조회된다. 앱 설치 후 ‘포인트 조회’ 란에서 실명인증을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