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건설사의 아파트 견본주택. /사진=뉴시스 DB
정부의 11.3 부동산정책 발표 이후 분양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분양이 적은 ‘안전지대’에 대한 청약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미분양 물량은 분양시장의 선행지표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 지역별 리스크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서다.미분양 없는 지역들은 주택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대규모 개발호재가 풍부하고 발전가능성이 높은 지역들도 상대적으로 미분양이 적다. 개발 기대감으로 투자자 등 수요 유입이 꾸준하기 때문이다.
이런 지역들은 아파트가격 상승률도 타지역에 비해 높다.
14일 업계와 한국감정원 등에 따르면 서울에서 미분양물량이 가장 많은 성동구의 올해 아파트가격 평균 상승률(1~10월)은 1.45%에 그쳤다.
반면 미분양이 전혀 없는 관악구와 동작구의 가격상승률은 각각 3.07%, 2.67%를 기록했다.
지방도 마찬가지다. 미분양이 10가구 채 안 되는 경남 밀양시의 올해 아파트가격 평균 상승률은 1.56%를 기록했다. 경남지역 전체 아파트 가격이 같은 기간 0.85% 하락한 점을 감안하면 밀양시는 매우 높은 상승률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올해 청약을 계획한 수요자라면 미분양이 적은 지역을 중심으로 신청을 고려해 보는 행보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서울, 수도권 등에서는 최근 뉴타운과 재개발사업이 활발한 성북구, 서대문구 등의 분양물량을 노려볼 만하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성북구는 지난 4월 이후 미분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서대문구는 지난달에 잔여물량이 모두 소진됐다.
경기권역에서는 사실상 서울생활권이나 다름없는 남양주 다산신도시, 인천은 기업형 임대주택인 뉴스테이를 눈여겨볼 만하다.
남양주 다산신도시는 아파트를 분양할 때마다 치열한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단기간 완판행진을 이어가고 있어 안정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반면 인천은 미분양이 다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미분양 우려에서 벗어나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뉴스테이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지방의 경우 여전히 분양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는 세종시를 비롯해 부산과 영남 일부지역을 주목해볼만하다.
세종시는 분양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에도 미분양물량을 찾기 힘들다. 이곳에서는 지난 5월 이후 미분양이 전혀 없었다. 그동안 신규공급이 뜸했던 경남 밀양시의 경우 7가구만이 새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