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엉덩이 근육을 말하면 앉았을 때 의자에 닿는 근육인 대둔근을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엉덩이 안쪽에도 엉치뼈와 허벅지뼈의 윗 부분에 이어져 있는 엉덩이 근육인 이상근이 자리잡고 있다. 엉덩이 관절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해, 서거나 걸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준다. 엉덩이 안쪽 근육인 이상근이 비대해지면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이상근증후군이라 한다.
그런데 엉덩이 근육이 빈약해 납작한 엉덩이를 가진 사람이라면 이상근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다.
신경외과 전문의 김세환 원장은 “바깥쪽 엉덩이 근육과 안쪽 엉덩이 근육이 역할을 나눠 맡아야 하는데, 바깥근육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안쪽의 이상근에 과한 스트레스가 가해진다”며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이나 운전자의 경우에도 엉덩이 바깥쪽 근육의 약화로 이상근에 무리가 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다리꼬는 습관이나 팔자걸음도 발병 위험을 높이는 만큼 잘못된 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근이 과한 스트레스로 비대해지면 아래를 지나는 좌골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한다. 이상근증후군으로 좌골신경통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단순히 신경만 압박하는 경우에는 엉덩이와 허벅지가 저리는 통증에서 그친다. 그러나 종아리나 발바닥까지 통증이 나타난다면 좌골신경 주위에 염증이 발병했을 가능성이 높다. 좌골신경은 엉덩뼈(좌골)를 지나 다리로 이어지는데, 좌골신경에 염증이 생기면 좌골신경이 관장하는 근육이나 주변 조직에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김세환 원장은 “이상근증후군에서 나타나는 방사통은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골반 종양 등의 질환에서 비슷하게 나타나 통증만으로 병을 쉽게 예단할 수 없다”며 “이상근증후군의 경우 운동치료 등으로 호전이 가능하지만 여타 척추질환일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어, 이상근증후근이 의심될 경우에는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