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 청문회. 구속수감된 최순실 씨가 지난달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조사를 받은 후 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구치소 청문회 무산될 수도 있게 됐다. 오늘(26일) 오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조특위 구치소 청문회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최순실씨,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모두 불출석 의사를 밝혀 청문회 개최가 어려워졌다.
이날 국회는 지난 1997년 한보그룹 사태 이후 19년만에 최순실씨, 안종범 전 수석,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을 상대로 구치소 청문회를 연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들 3명 모두 어제(25일) 불출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청문회에서 모두 불참해 특위위원들의 비난을 받았던 이들은 이번에도 재판이 진행 중이고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유 등으로 청문회 불출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특위는 동행명령장까지 발부했지만 이들에 대한 청문회를 진행하지 못해, 한보사태 당시 정태수 회장 등에 대해 실시한 이후 19년만에 구치소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당초 오전 10시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최씨에 대한 청문회를 열고 오후2시에는 서울남부구치소에서 안 전 수석, 정 전 비서관을 상대로 청문회를 열 계획이었지만, 불출석할 경우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
여야 역시 모두 증인들의 청문회 출석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성원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최순실씨, 안종범 전 수석 등 청문회 핵심 증인들은 그동안 수차례 국회 출석요구를 무시하고 국민을 우롱하며 진상규명을 방해해 왔다. 또다시 핵심 의혹 당사자들만 빠진 맹탕 청문회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기동민 민주당 원내대변인 역시 논평을 내 "최순실, 안종범, 정호성은 마지막 남은 구치소 청문회에 반드시 그 모습을 드러내야 한다. 국정농단의 전말, 재벌과의 결탁, 부정축재 수단 등 국민적 의혹에 대해 답변해야 한다.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도 지키기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