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내년 투자은행(IB)부문 강화에 무게를 싣는다. /사진=머니S DB
증권사들이 내년 투자은행(IB)부문 강화에 무게를 싣는다. 대형증권사들은 내년 ‘초대형 IB시대’ 개막 대비에 나섰다 중소형증권사들은 기업의 성장 한계로 기업금융업무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대비책을 마련했다.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과 통합법인으로 출범하는 미래에셋대우는 지난달 IB사업부를 IB1부문(기업금융)과 IB2부문(프로젝트금융)으로 분리해 전문화했다.
NH투자증권은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사모주식(PE)본부를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바꿨다. IB부문 경쟁력과 독립성을 키우고 적극적인 외부자금 유치하기 위해서다.
한국투자증권은 기존 프로젝트금융본부를 1본부와 2본부로 개편했다. 2본부는 대체투자와 부동산투자를 담당한다.
한화증권은 IB본부를 핵심 비즈니스로 키우기 위해 투자금융사업부를 신설하는 조직개편안을 내놨다. 투자금융사업부 산하에 부동산금융팀과 해외사업팀을 두고 신규사업으로 사모펀드(PEF)를 키우기 위해 프라이빗에쿼티(PE)팀을 신설했다.
유진투자증권은 IB부문을 강화하는 조직개편과 정기인사를 단행했다. IB본부를 IB부문으로 확대 개편하고 기업금융파트와 구조화금융파트를 각각 기업금융본부, 구조화금융본부로 확장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소한 증권사들의 위탁매매 수익으로 인해 대형사와 중소형사들이 IB부문을 강화하고 있다”며 “내년 국내기업들의 성장이 한계에 직면하면서 기업 구조조정, 인수·합병(M&A), 자금조달 등 IB 관련 업무가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