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4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BSI) 조사’에서 전국 BIS는 전 분기(86) 대비 18포인트 떨어진 68로 집계됐다.
BSI가 100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고 100미만이면 반대다. 68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61~75)와 비슷한 수치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체감경기가 악화된 이유에 대해 기업들은 대내적으로는 ▲정치 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관련 규제(31.6%) 등을 꼽았다.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성장률 둔화(42.4%) ▲전세계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여건 악화(28.4%) 등을 꼽았다.
이런 가운데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못해 새해 제조업체 절반가량(50.6%)이 보수경영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경영기조를 밝힌 기업들은 ‘현 상태 사업유지’(65.1%), ‘기존사업 구조조정’(17.5%), ‘대외리스크 관리’(17.4%) 등을 올해 계획으로 제시했다.
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탓에 취업문도 좁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다. 나머지 기업들은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거나(22.7%) 전년과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일 예정(49.6%)이다.
A 제조업체 관계자는 “수주가 줄어 매출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며 “신규 채용은커녕 현재 인력도 유지하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