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차로 하이패스. /자료=국토교통부
다차로 하이패스가 도입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도로공사와 함께 고속도로 하이패스 차로를 좀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차로 하이패스를 도입한다고 오늘(24일) 밝혔다.
다차로 하이패스는 하이패스 차로 사이에 경계석이 없도록 구축한 시스템을 말한다. 차로 옆에 있는 장애물을 없애 달리던 속도 그대로 주행하면서도 안전하게 통행료를 납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 하이패스는 대부분 원래 있던 요금소를 개량해 만들어져 차로 폭이 3~3.5m로 좁아 속도를 시속 30㎞로 제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들이 속도를 낮춰야 하는 문제는 물론, 과속차량이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도 있었다.
국토부는 이에 다차로 하이패스를 도입효과가 큰 요금소부터 단계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는 제2경인고속도로 등 4곳에 2차로 하이패스를 구축한다. 대상지는 제2경인고속도로 남인천과 남해고속도로의 서영암·남순천, 경부고속도로의 북대구 톨게이트다.
오는 2018년부터 2년 동안 교통량이 많은 3차로 이상 수도권 고속도로 본선 요금소에도 다차로 하이패스가 도입된다. 대상지는 경부고속도로 서울과 서해안고속도로 서서울, 중부고속도로 동서울 등 13개소 톨게이트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차로 하이패스 도입을 계기로 안전을 강화하고 지·정체 문제도 개선되길 기대한다. 주행 중 자동으로 통행료가 부과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도 오는 2020년까지 차질없이 도입하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