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센트럴 푸르지오 투시도. /사진=대우건설
최근 냉각된 분양시장에서 실수요자라면 관심가져볼 만한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가 주목 받고 있다. 신규 분양 아파트와 달리 청약통장이 필요 없고 동과 호수도 고를 수 있다. 또 금융혜택이나 무상옵션 등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지난해 선보인 단지여서 분양 시 잔금대출 등 규제에서도 자유롭다. 특히 지난해 말 건설사들이 ‘밀어내기 식’ 물량을 쏟아내면서 입지가 좋음에도 불구하고 일시적 공급과잉으로 미분양으로 남아 있는 대단지 아파트가 눈길을 끈다.
1일 국토교통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총 1만8235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268가구, 경기도 1만4396가구, 인천 3571가구 등이다.
미분양 아파트를 고를 때는 브랜드 가치가 높은 대단지나 개발 호재가 많은 곳 등 가격이 상승할 만한 조건을 따져 봐야 한다.
특히 규모가 큰 아파트의 경우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 조경설계 등이 잘 갖춰지고 거주 인구도 많은 만큼 주변을 따라 상업·편의시설 등이 잘 배치돼 주거여건이 좋다. 수요가 꾸준해 환금성이 우수하고 경기상황에 집값이 영향을 덜 받아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지난해 11~12월은 비수기임에도 건설사들이 전국에 6만6000여 가구를 분양하는 봄 성수기 못지않은 물량을 쏟아내 지역에 따라 물량을 소화되지 못한 곳이 더러 있다”고 짚었다.
이어 “잔금대출 등 각종규제가 예외인데다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미분양 아파트가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알짜 미분양 아파트를 고르기는 쉽지 않아 미래 가치가 있는 아파트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중에서도 생활편의시설과 개발호재 등을 품은 단지가 있어 눈길을 끈다.
대우건설은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시흥 센트럴 푸르지오’를 분양 중이다. 전용면적 59~106㎡ 2003가구 규모로 개통이 예정된 소사-원시선 신천역(가칭)이 단지 바로 앞에 위치한다. 발코니 확장비용을 내면 전용면적 75㎡B는 침실에 붙박이장을 놓거나 자녀방에 드레스룸 선반, 파우더장으로 등으로 꾸밀 수 있다.
서울에서는 롯데건설이 동작구 사당2구역에 짓는 ‘사당 롯데캐슬 골든포레’가 미분양으로 남았다. 전용면적 49~97㎡ 총 959가구 규모로 인근에 있는 지하철 7호선 남성역에서 논현역까지는 다섯 정거장 거리다. 단지 맞은편에는 현충근린공원이 있고 까치산공원, 상도근린공원 등도 주변에 자리해 쾌적한 주거생활을 누릴 수 있다.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신도시에는 호반건설이 ‘김포한강신도시 호반베르디움 2차(Ab18블록), 3차(Ab19블록), 5차(Ab21블록)’ 잔여가구를 분양 중이다. 전용면적 70~84㎡ 총 946가구 규모로 오는 2018년 개통 예정인 김포도시철도 구래역 이용시 지하철 5·9호선, 공항철도 환승역인 김포공항역까지 20분대로 진입이 가능하다.
동탄2신도시 A99·100 블록에서는 ‘동탄2 아이파크’ 전용면적 84~96㎡ 980가구를 분양한 현대산업개발이 잔여 계약자를 기다리고 있다. 단지 바로 앞 도보 거리에는 유치원·초·중·고교가 계획돼 있고 아파트 내에 독서실, 키즈룸 등 자녀 교육을 위한 다양한 커뮤니티가 조성될 예정이다.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동춘1도시개발사업지구 7블록에서는 GS건설이 ‘연수파크자이’를 분양 중이다. 전용면적 76~101㎡ 총 1023가구 규모로 동춘1도시개발사업지구 내 유일한 1군 건설사의 브랜드아파트로 주목 받는다. 단지 바로 옆에는 공원 부지가 함께 들어서 주거 여건도 쾌적하다. 송도2교를 사이에 두고 송도국제도시와 마주해 더블생활권을 누릴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밖에 대우건설, GS건설 컨소시엄도 인천 중구 중산동 영종하늘도시 A27블록에 ‘영종하늘도시 푸르지오자이’를 분양 중이다. 1604가구 전용면적 64~84㎡ 규모로 중도금 무이자 혜택에 발코니확장도 무상 제공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