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최태원 SK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이재현 CJ 회장. /사진=머니투데이DB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7일 구속되며 총수가 유사한 혐의를 받고 있는 그룹들의 위기감이 커졌다. 특검에서 수사기한 연장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재계 수사 범위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에서다.
최태원 SK 회장은 사면을 위해 대가성 자금을 건넸다는 의혹을 받는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은 검찰 수사 과정에서 최 회장의 사면 사실을 미리 알려줬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안 전 수석의 진술을 바탕으로 SK그룹이 미르와 K스포츠재단에 111억원을 출연한 이유 등을 수사하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 2013년 1월 회사 공금을 횡령한 혐의로 징역 4년형을 받은 이후 2015년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돼 사면됐다.


1차 특검 수사기한이 오는 28일로 예정돼 물리적으로 수사 및 기소는 어려울 것으로 여겨지지만 수사기한이 연장되면 최 회장에 대한 수사가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다.

45억원을 출연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특허건과 관련해 대가성 의혹을 받는다. 또 지난해 5월 K스포츠재단 하남 체육시설 건립사업에 70억원을 추가로 기부했다가 돌려받았다는 점을 두고 대가성 논란이 일고 있다.

CJ그룹은 손경식 CJ그룹 회장이 박 대통령과의 독대 자리에서 이재현 CJ그룹 회장에 대한 사면 청탁을 했는지 여부에 대해 의혹을 받고 있다.


재계에서는 과도한 특검수사가 어려운 경제상황에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재계 관계자는 “각종 경제지표가 모두 바닥인 상황에서 오너에 대한 수사는 기업 입장에서 부담일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